반응형
「‘안냐세요’. '하이염', '안습', '듣보잡', '돼랑이',...‘꼬방시다’, ‘찍먹?’, ‘극혐’, ‘행쇼’,...
‘솔라밸리 마스터 플랜’, ‘솔라 그린시티’, ‘에어로폴리스’, ‘그린뉴딜’, ‘디지털뉴딜’, ‘k-방역’, ‘information’, ‘customer’ ‘contact us’, ‘디지털뉴딜’, ‘k-뉴딜지수’...
‘제로페이’, ‘코나아이’, ‘나이스그룹’, ‘강동빗살머니’, ‘e바구페이’, ‘On通대전’,...」
무슨 뜻인지 알아들 수 있을까? 아이들 뿐만 아니다. 방송언어며 관공서에서까지 언어파괴 경쟁을 하듯 한글파괴에 나서고 있다. 어떤 상가는 승강기 안내를 ‘elevator’라고 적었는가 하면 공원 화장실 입구에 ‘MAN’, ‘WOMAN’ 이라고 안내해 놓은 곳도 있다. 세계에서 자기 글을 가진 국가는 20여 곳에 불과하다. 과학적이고 창의적이고 다의적이라는 평가를 받고있는 아름다운 한글... <훈민정음 해례본>이 세계기록유산으로 등재돼 있는 한들이 어쩌다 이 지경이 됐을까?
행정수도를 지향하는 세종시는 세종임금의 명성에 걸맞게 기관이나 단체 이름을 한글로 쓰고 있다. 1읍, 9면, 10행정동으로 구성되어있는 세종시는 동네 이름도 고운동, 아름동, 도담동, 어진동, 다정동, 새롬동, '범지기 마을', 호려울마을… 과 같은 우리말로… 학교 이름도 가락초등학교, 가득초등학교, 감성초등학교, 고운초등학교, 글벗초등학교, 늘봄초등학교,...이렇게 지어 참으로 정겹고 아름답다. 그런데 상가 건물 이름을 보면 어처구니가 없다. 리치타워, 파임엔디, 필리체타워, 퍼스터시티, 더 스테이, 지웰플렉스, 메인타워, 아이콤스타시티, 알파타워…와 같은 국적불명의 외국어다. 심지어 The Star City와 같은 영어 이름을 그대로 붙인 곳이 있는가 하면 우리말 이름은 눈을 닦고 찾아봐도 없다.
같은 이름이라도 영어를 사용하면 품격이 더 높아 보인다고 착각하기 때문일까? 아름답고 독창적인 우리말을 두고 저열한 문화사대주의인가? 아니면 자국 문화를 비하하는 문화 열등감에서 비롯된 현상일까? 우리 국민 특히 지식인층에서는 참으로 아름답고 독창적인 한글을 두고 중국이 강성할 때는 중국어를, 일본의 지배하에서는 일본말을, 미국이 힘이 강하면 영어를… 많이 쓰는 것이 더 유식하고 고상하고 유명해진다고 착각하고 있는 듯하다. 국민을 계도하고 이끌어야 할 정부나 기관, 언론… 등이 오히려 언어문화파괴에 앞장서고 있다. 심지어 노인들이 주주 찾는 공간에 ‘시니어 하우스’라는 팻말은 누구에게 보이기 위한 것인가? 왜 ‘노인정’이나 ‘경로당’ 또는 ‘어르신 쉼터’라고 표현하면 품격이 떨어지는가?
공중파를 비롯한 언론의 언어파괴는 도를 넘었다. 캐슬이니 파크, 더샵, 자이, 힐스테이트, 스카이, 센트럴, 파라곤, 리버사이드… 같은 이런 용어들은 언론이 즐겨 애용하는 단어들이다. 정부 관료가 발표한 정책 설명에 ‘포괄적 네거티브’와 ‘규제 샌드박스’, ‘디지털뉴딜’, ‘k-방역’... 같은 단어를 무분별하게 오·남용해 유행어를 만들고 있다. 이런 영향 때문일까? 거리를 지나치다 보면 가게의 간판이며 잡지나 상품 안내서, 즉석 음식점을 포함한 일반 음식점들의 차림표에도 외국어로 도배 되다시피 하고 있다.’ 외교부 홈페이지 첫 화면에는 ‘이슈별 자료실’, ‘뉴포커스’, ‘G20’, ‘OECD’ 등 외국어를 마구잡이로 사용하고 있다.
‘미디어 오늘’이 한글날을 앞두고 지상파TV 4개사 5개 채널의 프로그램을 조사한 결과 KBS 2TV, MBC, SBS는 외국어 제목이 전체 프로그램의 30% 이상을 차지한 것으로 나타났다. 또 외국어 제목의 사용 비율도 갈수록 증가하는 것으로 조사됐다. 프로그램 제목의 경우 <클린 코리아 2003> <주주클럽> <논스톱4> <사이언스 파크> <세븐데이즈> <뮤직뱅크> <해피 투게더> <스타도네이션> <시네클럽> <미디어포커스> <포토에세이> <서프라이즈> <맨Ⅱ맨>이며 부제목에는 <포스트맨 블루스> <스타 플러스> 등과 같이 외국어를 조합하여 그 뜻을 알 수 없거나 어법에도 맞지 않는 부제목을 사용한 경우가 많았다. 심지어는 <디카클럽>(디지털카메라+클럽) <겜파라치>(게임+파파라치) <퀴즈짱>(퀴즈+짱) 등과 같은 국적불명의 조어를 사용한 우도 있었다.
미디어 오늘이 조사한 바에 따르면 조선일보 <조선닷컴 프리미엄> <디조쇼핑> <디조컨텐츠>, 동아일보 <포토포토> <클로즈업> <머니플라자>, 중앙일보 <포커스뉴스> <중앙라운지> 한겨레의 <하니리포터> <라이브폴> <뉴스메일>, 문화일보 <포토뉴스> <지키> <헤드라인 뉴스>...라는 제목으로 뽑았다. 방송의 차례인 ‘디지털포커스’ ‘라이브러리’ ‘모닝와이드’ ‘오픈스튜디오’ ‘뉴스퍼레이드’ ‘리얼 스토리’를 비롯해 신문의 이른바 섹션(→부분) 제목에서 ‘쇼핑’ ‘이코노미’ ‘사이언스’와 ‘Cultures’ ‘Travel’ ‘Money’ ‘Health’ ‘IT’ 등의 로마자 제목, ‘시네 카페’ ‘카 라이프’ ‘오토 월드’ ‘머니 테크’와 같은 가짜 영어투성이다. 이대로 가면 우리말은 사라지고 국적 불명의 외국어투성이의 부끄러운 문화 후진국으로 전락하는 것은 아닐까?
..........................................................
손바닥헌법책 보급운동에 함께 합시다-'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가입...!'==>>동참하러 가기
손바닥헌법책 선물하기 운동 ==>> 헌법책 구매하러 가기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가입...!'==>>동참하러 가기
생각하는 스포츠 인권교과서... 구매하러가기 ==>> 교보문고, 예스 24
생각하는 스포츠 인권 교과서<생각비행>
『생각하는 스포츠인권 교과서』는 스포츠인권의 개념부터 실현 방안까지 차근차근 알려 줍니다. 한국방정환재단과 10명의 스포츠, 인권 관련 전문가가 뜻을 모아 한국 스포츠계에 인권 신장이 필요한 이유, 학생선수들의 학습권이 중요한 이유‘’등을 재미 있게 설명해 줍니다.
반응형
'정치 > 사는 이야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능력주의로 차별을 정당화하는 사회... 왜? (12) | 2021.07.30 |
---|---|
시가 그리운 날에... 물따라 나도 가면서 - 김남주 (9) | 2021.07.10 |
'가난'이 죄인가요? (11) | 2021.06.17 |
‘한 번도 경험하지 못한 나라’는 이런 나라였나? (12) | 2021.06.04 |
좋은 책이란 어떤 책일까? (8) | 2021.05.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