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정치

선입견이나 고정관념 그리고 이데올로기 틀에 갇혀 사는 사람들...

by 참교육 2015. 9. 9.
반응형

며칠 전에 오마이뉴스에 참 재미있는 기사 하나가 실렸다. 8월 25일자 "저게 남자여 여자여? 치마 한번 올려봐"라는 기사다. ‘남자라 못 입었던 치마, 제가 한번 입어봤습니다’라는 부제가 달린 이 기사는 여성의 삶이 얼마나 힘든지 체험하기 위해 용감한 남자가 쓴 기사다. 하루를 견디지 못하고 치마를 벗고 말았다는 기자의 결론은 남자가 치마를 입으면 안 된다는 사회적 통념이 얼마나 뿌리 깊은가를 확인할 수가 있다.

 

<이미지 출처 : 오마이뉴스>

 

 남자는 치마를 입으면 왜 안 되는가?

 

여성은 꼭 치마를 입어야 여성다운가? 마산에 있는 모여고에 근무할 때의 얘기다. 별나게 추운 겨울날, 아이들이 짧은 치마에 덧옷도 입지 새파랗게 얼어서 등교하는 모습이 안타까워 학교운영위원회에 제안을 했다. ‘우리학교 학생들에게 치마와 바지를 선택적으로 입게 하자’고 했더니 운영위원회가 발칵 뒤집혔다. 학부모운영위원 중에는 동창회 회원인 한분이 90년 전통의 유서 깊은 우리학교에 ‘여성답지 못한 바지를 교복으로 할 수 입힐 수 있는냐’며 펄쩍 뛰었다. 우여곡절 끝에 치마와 바지를 선택적으로 입을 수 있도록 결정하긴 했지만 ‘여성은 치마를 입어야 단정하고 여성답다’는 선입견을 얼마나 깊은지를 새삼스럽게 느꼈다.


흡연문제도 그렇다. 고등학교에 근무하다보면 학생들의 흡연문제로 하루도 조용할 날이 없다. 문제는 학생들의 흡연지도를 하는 교사들의 생각이 흡연을 건강 차원이 아니라 도적적인 차원에서 지도하고 있기 때문이다. 학생들이 담배를 피우는 것이 건강 상 해로운 것은 제쳐두고 ‘나이도 어린 것이 버릇이 없다’는 이유다. ‘머리에 피도 안 마른 것들이...’ 담배를 피운다는 것이 보기 싫다는 이유다. 결국 담배를 피우는 학생은 도덕적으로 불량학생으로 낙인찍고 지도과에 불려가 며칠간 반성문을 쓰고 벌점까지 받고서야 끝난다. 선생님들 중에는 그렇게 하면 지도가 다 됐다고 생각하는 사람도 있지만 반성문을 쓴 학생은 교칙이 무서워 쓴 것일 뿐, 도덕적으로 나쁜 학생이라고 인정할 것은 아닐 것이다.


자신이 알고 있는 지식이나 규범은 완전무결한가? ‘치마를 입으면 여성답다’거나 담배를 피우는 학생은 불량학생‘이라는 선입견도 그렇다. 우리 사회에는 오래전부터 선입견이나 편견 혹은 이데올로기의 틀에 갇혀 사는 사람이 많다. 남편을 따라 죽어야 열녀가 되고, 3종지도가 여성이 살아야할 모범적인 삶이라는 선입견은 여성들일수록 더 확고했다. 지금도 남자들이 입는 두루마기나 신부들이 입는 옷은 바지가 아니라 치마형이다. 동남아시아에는 어린 초등학생도 담배를 피운다. 도덕성이 부족해 그런 관습이 생겼을까? 아름답다는 기준도 그렇다. 꽃이 예쁘다는 것도  실용적인 것은 좋은 것이고, 좋은 것이 예쁘다는 가치관이 생겨 난 이후 나타난 미 개념이다.

 

 

검은 색은 추하다고 흑인을 경원시하면서 검은 색 옷을 즐겨 입는 이유는 뭘까? 검은색이 추한 색이 아니라 흑인이 더럽다는 인종주의적인 시각이 ‘검은색=더러운 색’이 되지 않았을까? 우리나라 사람들은 처음부터 미인의 기준이 서양 사람들의 체형인 8등신이었을까? 또 째즈를 처음 듣는 사람은 멜로디가 아름답다고 느꼈을까? 사람들은 처음부터 서양 사람처럼 키가 큰 사람이 멋있다고 생각했을까? 외모나 학벌이 곧 인품이 된다든지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이 훌륭한 사람이라고 생각하는 사람들이 있다. 상업주의가 만든 외모지상주의는 인품이 아니라 외모나 경제적인 능력이 있는 사람이 존경의 대상이라고 왜곡하고 있는 것은 아닐까?


며칠 전 내 블로그에 ‘교과서 없이 수업해 보세요’라는 글을 올렸더니 ‘객관적인 채점의 기준을 마련하기 어렵고, 채점자의 주관이 개입될 여지가 많아 어려울 것 같은데요.’라는 댓글을 단 분이 있었다. 현직교사로 보이는 이 선생님의 선입견은 교과서가 없으면 출제가 어렵고 학생들의 서열을 매기기 어렵다는 현실을 걱정한 탓이리라. 공부가 시험을 치기 위해 필요한 것이 아닌데...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게 교육인데, 현실은 상급학교 진학이 공부의 목적이 되다시피 한 현실.... 자연 속에 풀어 놓고 지연을 만나게 하는 것이 흑판을 마주하고 앉아 시험문제를 풀이하는 것보다 훨씬 좋은 수업이 될 수 있는데... 스스로 공부할 과제를 찾아 발표하고 토론하는 것이 더 재미있는 공부가 될 수 있을 텐데... 학교는 왜 자꾸 학생들을 많이 외우게 하고 외운 결과를 기억 순으로 테스트를 해 서열 매기려 할까? 선입견이나 이데올로기 틀에 갇혀 살면서 진보니 개혁을 말할 수 있을까? 

 

 

-----------------------------------------------------------------------------------------

 

2014년 4월 16일...

오늘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들을 생각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가족들의 아픔에 함께 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교보문고 
http://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8994502151&orderClick=LEA&Kc=

예스24 
http://www.yes24.com/24/Goods/9265789?Acode=101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E899450215

북큐브 
http://www.bookcube.com/detail.asp?book_num=13090003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