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통한의역사, 4.3항쟁은 아직 끝난 게 아니다

by 참교육 2013. 4. 2.
반응형

 

 

 

극적인 슬픔과 극적인 기쁨은 통한다고 했던가?

 

너무 슬퍼도 또 너무 기뻐도 눈물을 흘리는 감정이 그렇다.

‘지슬’이라는 영화를 보면서 그런 생각을 했다. 처절하리만큼 잔인한 비극적인 사건을 지고지순의 아름다움으로 표현한 영화. 보통 영화가 끝나면 ‘만든 사람들’이라는 자막이 나오기 바쁘게 관람객들은 극장 밖을 빠져 나간다.

 

그런데 ‘지슬’은 ‘만든 사람들’이라는 자막이 계속 올라가고 있는데도 일어서서 나가려는 사람이 하나도 없었다. 모두들 약속이라도 한듯 그 자리에 앉아 꼼짝도 하지 않고 앉아 있었다. 영화가 주는 감동에 취해 모두들 깨어나지 못하고 넋을 잃고 있는 것일까?

 

1948년 11월, 제주섬 사람들은 ‘해안선 5km 밖 모든 사람을 폭도로 여긴다’는 흉흉한 소문을 듣고 삼삼오오 모여 피난길에 오른다. 도대체 무슨 일이 어디서부터 일어나고 있는지 영문도 모른 채 산 속으로 피신한 마을 사람들은 곧 돌아갈 생각으로 따뜻한 감자를 나눠먹으며 장가갈 걱정, 집에 두고 온 돼지걱정 등 소소한 이야기를 늘어놓으며 웃음을 잃지 않는 모습들...

 

어떻게 이런 발상이 가능할까? 예술로 표현된 민족의 비극 4.3항쟁은 처절하리만큼 순박하고 아름다웠다. 무고한 제주도민 3만명이 국가권력에 의해 비참하게 학살당한 이 비극을 예술로 승화시킨 예술가의 시각으로 표현한 4․3의 진실... 그 제주의 슬픈 역사는 아직도 계속되고 있다. 수많은 관광객들이 지금도 제주를 찾지만 비극의 역사 제주는 아름다움만 간직한 채 오늘도 속으로 슬픔을 삭이고 있다.

 

 

이제 내일이면 4․3항쟁이 일어난 지 66년째를 맞는다.

 

지금으로부터 62년 전 우리가 딛고 서 있는 제주도, 시리도록 푸른 하늘과 슬픔을 간직한 당당한 아름다움으로 다가오는 한라산과 오름들 곳곳 마다 학살의 상처가 없는 곳이 없을 정도로 야만의 광풍이 제주도를 뒤덮었다. 국가권력에 의한 처참한 인권유린의 현장이 바로 우리 제주도 4ㆍ3의 역사다.

 

감춰진 역사. 숨겨진 역사는 역사가 아니다. ‘4ㆍ3항쟁’ 역사적 진실은 아직도 접근하기조차 어려운 감춰진 역사다. 제주도에서 태어나고 제주도에서 자란 학생들조차 현대사의 비극인 4ㆍ3을 모르고 있다. 입에 담기조차 두려운 제주는 아직도 동굴 속에 감춰져 실체를 드러내지 못하고 있다.

 

제주4·3사건의 배경은 극히 복잡하고 다양한 원인이어서 하나의 요인으로 설명할 수가 없다. 동북아 요충지라는 지리적 특수성이 있는 제주도는 태평양전쟁 말기 미군의 상륙을 저지하기 위해 일본군 6만여 명이 주둔했던 전략기지로 변했고, 종전 직후에는 일본군 철수와 외지에 나가있던 제주인 6만여 명의 귀환으로 급격한 인구변동이 있었다.

 

4.3의 실체적 진실

 

광복에 대한 초기의 기대와는 달리 귀환인구의 실직난, 생필품 부족, 콜레라에 의한 수백 명의 희생, 극심한 흉년 등의 악재가 겹쳤고, 미곡정책의 실패, 일제경찰의 군정경찰로의 변신, 군정 관리의 모리행위 등이 큰 사회문제로 부각됐다. 이런 분위기 속에서 1947년 3·1절 발포사건이 터져 민심을 더욱 악화시켰다.

 

이에 3·10민관총파업이 일어난다. 바로 이 사건이 4·3사건을 촉발하는 도화선이 됐다. 경찰발포에 항의한 총파업은 관공서 민간기업 등 제주도 전체의 직장 95% 이상이 참여한, 한국에서는 유례가 없었던 민·관 합동 총파업이었다.

 

 

사태를 심각하게 여긴 미군정은 조사단을 제주에 파견, 이 총파업이 경찰발포에 대한 도민의 반감과 이를 증폭시킨 남로당의 선동에 있다고 분석했다. 그러나 사후처리는 ‘경찰의 발포’보다는 ‘남로당의 선동’에 비중을 두고 강공 정책을 추진했다. 도지사를 비롯한 군정 수뇌부들이 전원 외지사람들로 교체됐고, 응원경찰과 서청 단원 등이 대거 제주에 내려가 파업 주모자에 대한 검거작전을 전개했다.

 

무장봉기의 시작

 

검속 한달 만에 500여 명이 체포됐고, ‘4·3’ 발발 직전까지 1년 동안 2,500명이 구금됐다. 테러와 고문이 잇따랐다. 1948년 3월에는 일선 지서에서 잇따라 3건의 고문치사 사건이 발생했다. 제주사회는 금방 폭발할 것 같은 위기상황으로 변해갔다. 이때 1948년 4월 3일 새벽 2시 350명의 무장대가 12개 지서와 우익단체들을 공격하면서 무장봉기가 시작됐다.

 

한편 9연대장 김익렬 중령은 무장대 측 김달삼과의 ‘4·28 협상’을 통해 평화적인 사태 해결에 합의했다. 그러나 이 평화협상은 우익청년단체에 의한 ‘오라리 방화사건’ 등으로 깨졌다. 미군정은 5·10선거를 성공적으로 추진하려고 노력하였으나 5월 10일 실시된 총선거에서 전국 200개 선거구 중 제주도 2개 선거구만이 투표수 과반수 미달로 무효 처리 되었다.

 

그러자 미군정은 강도 높은 진압작전을 전개하며 6월 23일 재선거를 실시하려고 시도했으나 실패했다. 5월 20일에는 경비대원 41명이 탈영해 무장대 측에 가담하는 사건이 생겼고, 6월 18일 신임 연대장 박진경 대령이 부하 대원에 의해 암살당한 사건이 발생, 충격을 주었다.

 

 

 

11월 17일 제주도에 계엄령이 선포되었다. 이에 앞서 9연대 송요찬 연대장은 해안선으로부터 5㎞ 이상 들어간 중산간 지대를 통행하는 자는 폭도배로 간주해 총살하겠다는 포고문을 발표했다. 이때부터 중산간마을을 초토화시킨 대대적인 강경 진압작전이 전개되었다.

 

이와 관련, 미군 정보보고서는 “9연대는 중산간 지대에 위치한 마을의 모든 주민들이 명백히 게릴라부대에 도움과 편의를 제공하고 있다는 가정 아래 마을 주민에 대한 ‘대량학살계획(program of mass slaughter)’을 채택했다”고 적고 있다.

 

30만 제주도민 중 3만여명이 학살당한 4.3은 아직도 끝나지 않았다 

 

초토화 작전에 의해 1948년 10월말부터 1949년 3월까지 약 5개월 동안, 집중적으로 참혹한 집단 학살이 행해졌다. 4·3 전 기간 동안의 사망자 수는 3만 이상으로 추정되고 있는데 반해 초토화 작전이 시작되기 전인 1948년 9월말까지의 사망자 수는 대략 1,000명 미만으로 알려져 있다.

 

토벌대는 무장대와 민중의 연계를 막기 위해 중산간 마을 주민들을 해안 마을로 강제 소개(疏開)시키고 100여 곳의 중산간 마을을 불 질렀다. 소개령이 내려졌는데도 병자, 노인, 어린이 등을 포함한 일부 주민들은 마을을 떠나지 않고 그대로 남아있는 경우도 허다했다. 그러나 이유 여하를 막론하고 이들에 대한 무차별 학살은 자행되었으며 소개령을 전달하지도 않고 방화와 학살이 이루어진 곳도 많았다. 계엄령 선포 이후 중산간 마을 주민들이 많은 피해를 입었다.

 

한국전쟁이 발발하면서 또다시 비극이 찾아왔다. 보도연맹 가입자, 요시찰자 및 입산자 가족 등이 대거 예비검속되어 죽임을 당하였다. 또 전국 각지 형무소에 수감되었던 4·3사건 관련자들도 즉결처분되었다. 예비검속으로 인한 희생자와 형무소 재소자 희생자는 3,000여 명에 이른 것으로 추정된다. 유족들은 아직도 그 시신을 대부분 찾지 못하고 있다.

 

잔여 무장대들의 공세도 있었으나 그 세력은 미미하였다. 1954년 9월 21일 한라산 금족(禁足)지역이 전면 개방되었다. 이로써 1947년 3·1절 발포사건과 1948년 4·3 무장봉기로 촉발되었던 제주4·3사건은 실로 7년 7개월 만에 막을 내리게 되었다.

 

-

자료 출처: 제주4·3연구소, 이미지 출처 : 다음 검색에서...

 

4.3 계기수업 자료가 필요한 선생님은 아래 자료를 다운 받으시기 바랍니다.

 

- 첨부자료 : 4. 3 계기수업자료(교육자료실 홈페이지에서..)

 

2012년4.3항쟁계기수업[2].hwp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