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관련자료/교사

이런 아이, 선생님은 어떻게 지도하세요?

by 참교육 2012. 6. 22.
반응형

 

 

수업을 막 시작하려는데 뒤에서 주희가 거울을 보고 있었다. 나는 동작을 잠간 멈추고 그 아이를 쳐다보았다. 한참 어색한 침묵이 흐른 뒤에야 아이는 눈치를 채고 거울을 내려놓았는데 내가 눈을 돌리자 다시 거울을 집어 들었다.

 

“나와!”

 

보통의 경우 그렇게 아이가 나오려고 자리에서 일어서면 다시 앉히곤 했다.

“앉으면서 반성했지?”

 

그리고 자리에 앉은 아이에게 이런 식으로 말하면 될 일이다.

그런데 이번에는 내 뜻대로 되지 않았다. 아이의 입에서 나온 이말 때문이었다.

 

“짜증나!”

 

나는 올 것이 왔구나 싶었다.

.......................

.......................

 

“너 지금 짜증난다고 했어?”

“..........”

 

“너 거울보고 있어서 선생님이 1차 지적을 했지?”

 

“언제요?”

 

“언제라니? 네가 거울을 보고 있으니까 선생님이 널 한참 바라봤잖아?”

“잘 모르겠는데요."

 

“잘 모르다니? 네가 방금 전에 한 행동을 모른 다는 것이 말이 돼?”

 

“눈이 아파서 거울을 좀 봤어요. 그게 잘못이예요?”

 

“”선생님 지금 많이 놀라고 있어. 너하고 이런 대화를 할 줄은 꿈에도 몰랐어. 내가 널 한번이라도 무시한 적이 있어? 그동안 내가 널 어떻게 대했는지 네가 알잖아. 어떻게 선생님한테 이럴수가 있어?“

 

“제가 어쨌는데요?”

 

여기까지 대화를 하다가 나는 눈앞이 깜깜해졌다. “제가 어쨌는데요?” 그 당돌함 때문이 아니었다. “내가 널 어떻게 대했는지 네가 잘 알잖아” 이 대목에서 아이가 픽 웃어버린 것이었다.

.....................

.......................

“난 너하고 대화를 하고 싶은 거야”

 

“대화는 무슨?”

..................

...................

 

“너 지금 비웃고 있는거야?”

 

“아닌데요”

 

“그런데 왜 웃는거야?”

 

“웃음이 나오는데 어떻게요?”

..........................................

..........................................

 

요즈음 교사라면 일상적으로 당하는 일이다. 이 글은 순천 효천고등학교 안준철선생님의 ‘오늘 처음 교단을 밟을 당신에게’에 나오는 얘기다.

 

이정도는 약과다.

남학생의 경우 자는 아이을 깨우면 교사를 쳐다보는 인상이 소름이 끼칠때도 있다. 눈길이 교사를 쳐더보는 눈이 아니다. 

'왜요?" 

잠이 들 깬 눈으로 처다보는 인상에 짜증이 묻어 있다. 한마디만 하면 책상을  후려치거나 선생님을 밀어붙이고 책가방을 채겨 교실밖으로 사라지는 경우도 허다하다. 이 정도면 낭패감에 교사는 설 곳을 잃고 만다. 왜 모두가 선호하는 교직을 떠나고 싶어 하는 지 알만하지 않는가?

 

이런 경우 선생님들은 어떻게 반응할까?

 

아무리 체벌금지라고 하더라도 성미 급한 교사는 폭력(?)으로 해결한다. 좀 더 사려 깊은(?) 선생님은 “너! 수업마치고 학생부로 와!”하고 수업을 계속할 것이다. 끝내 학부모를 소환하고 징계위원회에 넘기고 자퇴 어쩌고... 이런 식으로 확대시키고 만다.

 

이 책의 저자 안준철선생님은 어떻게 반응했을까?

 

하던 수업, 아이들에게 과제를 주고 복도로 학생을 불러냈다.

“주희야! 내가 네게 뭘 잘못한 거야?”

“..............”

“내가 잘못한 게 있으면 사과하려고 그래”

 

욕을 하거나 언어폭력을 가했다면 이 학생과 선생님의 관계는 끝이 날 순간 선생님은 그렇게 위기를 넘기고 있었다. 이런 경우 감정이 개입되면 교사와 학생사이는 끝이다.

 

 

 

오늘날 선생님들이 교실에서 힘들어 하는 이유 중의 하나도 선생님을 선생님으로 대해주지 않는, 무시당하고 있다는  자존심(?) 때문이다.

 

대화는 처음부터 기대할 수도 없고 시험문제를 풀이하는 선생님과 점수 몇점을 위해 목숨을 거는(?) 학생이 있는 삭막한 교실. 이런 분위기에서는 몇 년이 지나도 학생의 이름조차 제대로 못 외우는 사제지간... 학생들이 무엇을 필요로 하는지, 어떤 고민을 하고 있는지, 얼마나 힘들어 하는지 알려고 하지도 알 필요도 없는 교실. 내가 맡은 과목 진도만 나가고 기말에 평가를 해서 서열만 매기면 교육이 끝나는 것일까?

 

안준철 선생님의 책 속에는 학생들을 사랑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사랑이 없는 교사와 학생사이에는 의무와 권리라는 삭막함 속에서 아이들은 의지할 곳도 마음 붙일 곳도 없다. 마음이 열릴 리 없다. ‘아이들의 비뚤어진 행동이나 말이 자신의 잘못에서 비롯된 것이 아닌가? 가정이, 세상이 이 아이를 힘들게 하고 있는 것이 아닌가?’ 늘 자신을 되돌아본다. 선생님은 늘 ‘나는 좋은 교사인가’를 자신에게 물으면서 하루하루를 보낸다.

 

솔직히 말해 지금까지 교사들은 너무 쉽게 살아 왔다. 교과부가 만들어 준 국정교과서에 참고서 회사가 만들어 준 교사용 지침서를 보고 흑판에 베껴주고 출판사에서 만들어 준 평가문제를 요리조리 꿰맞춰 문제를 출제하고, 컴퓨터가 작업한 평가결과가 나오면 아이들에게 나눠 주면 교사의 할 일을 다 했다고 생각했다. 자신의 주관이니 소신이니 철학 따위는 필요하지 않았다.

 

나는 아이들에게 어떤 선생님인가? 혹시나 공부 못하는 학생을 인격적으로 무시하거나 아이들이 필요로 할 때 너무 먼 곳에 있어 그들의 간절한 기다림을 모른 채 한 일은 없었을까? 자신도 모르게 아이의 가슴에 못 박은 말을 한 일은 없었을까?

 

끝임 없이 좋은 선생님이 되어야겠다는 자기 성찰 없는 교사는 아이들에게 무용지물(?)이 될 수도 있다는 사실을 한번쯤 생각한다면 교실은 좀 더 따뜻해지고 아이들은 좀 더 행복해지지 않을까? 교사는 있어도 스승이 없는 교실, 교육은 없고 입시문제풀이만 하는 교실 때문에 아이들은 하루가 다르게 벼랑으로 내몰리고 있다.

 

- 이미지 출처 : 다음 검색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