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생관련자료/입시

일등이 교육의 목표가 되는 이상한 나라

by 참교육 2019. 12. 18.
반응형

“너는 학교에 왜 다니지...?”

아이들에게 이런 질문 던지면 열에 일곱 여덟은 “훌륭한 사람이 되려고요”라고 대답한다. 교육의 목표가 ‘훌륭한 사람’일까? 엄마들에게 “아이들 학교에 왜 보내세요?”라고 물어보면 뭐라고 답할까? 속으로는 일류대학을 나와 의사나 판검사와 같은 사람으로 키우고 싶어도 겉으로는 ‘훌륭한 사람으로 키우고 싶어서...’라고 답할 것이다.



아이들이나 부모들이 바라는 ‘훌륭한 사람’이란 어떤 사람일까? 일류대학을 나온 사람…?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권력이나 경제력을 가진 사람…? 아니면 ‘많은 사람들에게 이름이 알려진 유명한 사람...? 아마 아이들이나 부모들이 원하는 훌륭한 사람이란 정의로운 사람, 힘없고 가난한 사람을 위해 자신의 한 몸을 희생한 사람이 아니라 ‘사회적 지위가 높은 사람... 의사나 변호사, 판검사...’가 되기를 원하는 것은 아닐까?

내 아이가 훌륭한 사람이 되기를 바라는 부모들 중에는 이상하게도 학교에 입학만 시키면 일등에 매몰되는 이상한 현상이 벌어진다. ‘우리 반에서 1등...?’ ‘전교 1등...?’ 도대체 아이들과 부모가 그렇게 좋아하는 ‘1등’의 기준이 무엇일까? 시험점수가 상대적으로 좋다? 그런데 출제자가 다른 문항을 출제해도 같은 결과가 나올까? 반에서 1등이나 전교에서 1등이 필요하고 있기나 한 것일까? 대한민국에서 가장 훌륭한 사람..? 둘째로 훌륭한 사람이 있기나 한 것일까?

대한민국의 교육은 현실 따로, 목표 따로다. 우리나라 교육기본법에서 학교가 길러내겠다는 인간상은 ‘홍익인간’이다. 1949년 12월 31일 미군정 당시 제정된 「교육법」제1조의 교육이념인 ‘홍익인간’이 1998년 교육기본법으로 수정돼 “교육은 홍익인간의 이념 아래 모든 국민으로 하여금 인격을 도야하고 자주적 생활능력과 민주시민으로서 필요한 자질을 갖추게 하여… ‘홍익인간을 길러내겠다’는 이념은 지금도 그대로다.

교육기본법이 길러내겠다는 인간상 ‘홍익인간...?’이란 어떤 인간일까? 홍익인간이란 사전적 의미로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간’이다. 학교가 ‘널리 세상을 이롭게 하는 홍익인간을 길러내고 있는가? 언제부터인가 우리나라 교육은 교육법이 지향하는 홍익인간을 길러내기보다 ‘인재양성’을 하겠다고 팔을 걷어 붙이고 있다. ‘글로벌시대 인재 양성, 지식재산, 인재교육, 인재육성....’이라는 표현이 마치 변화하는 시대의 교육의 목표처럼 인식되고 있는 것이다.

교육이란 사람을 사람답게 키우는 일이다. 개인적으로는 성인이 되어 사회에 적응할 수 있는 능력을 배우고 익히는 ‘사회화 과정’이다. 하루가 다르게 변화하는 세상이니 어제의 지식이 쓸모없는 휴지조작이 되기도 하고 애써 배운 원론이나 법칙이 무용지물이 되는 세상에 살고 있다. 몇년 전 지식산업사회가 정보화사회로 정보화사회가 다시 알파고사회로 변화하는 지각변동의 시대에 우리는 살고 있는 것이다.

교육목표는 홍익인간이지만 현실은 자본이 필요로 하는 인간. ‘인재’를 길러내는 것이 목표처럼 변질됐다. 마치 박정희정권시절, 혁명공약처럼... 많은 것을 배우고 외워서 다른 사람보다 앞서는 것.... 그게 훌륭한 사람이 되는 길일까? 남보다 타고난 재능을 많이 타고나 남들보다 더 많이 알고 능력을 발휘하는 게 훌륭한 사람일까? 경쟁을 통해 남을 제압하고 앞서 남의 부러움을 사는 게 훌륭한 사람일까?



인재란 사전에서 ‘어떤 일을 할 수 있는 학식이나 능력을 갖춘 사람’이라고 풀이한다. 교육의 목표가 인재를 길러낸다는 것은 교육을 개인이 살아갈 사회에 적응하기 위한 재사회화과정이 아니라 국가나 자본이 필요로 인간을 길러내겠다는 시각에서 풀이한 해석이다. 인재양성이란 피교육자가 살아갈 세상에서 적응하는 ‘사회화’도 ‘널리 인간세상을 이롭게 하는 인간’인 홍익인간도 아닌 국가나 사회, 자본이 필요한 인간이다.

아리스토텔레스는 그의 저서 니코마코스의 윤리학‘에서 ‘인간은 행복하기 위해 산다’고 했다. 그는 ‘인간의 모든 의도된 행위는 어떤 목적을 지향하며, 이 목적이 성취되면 이 목적은 다시 더 높은 목적을 위한 수단이 돼 그 위의 목적에 이바지한다. 이렇게 목적과 수단의 지속적인 연쇄관계의 계단을 계속 밟아 올라가면, 더 이상 다른 것의 수단이 아니라 그 자체가 목적인 최종 목적지에 도달한다. 이것이 다름 아닌 인생의 가장 좋은 것(최고선)이자 궁극적인 목적인 행복이라고 했다.

우리는 행복하기 위해서 사는가? 사회학에서는 ‘목적전치’를 사회적 병리현상‘으로 풀이한다. 목적을 위해 수단을 사용하면 점차 수단이 목적보다 더 중요해 지는.... 어쩌면 우리는 급변하는 시대에 살면서 집단 목적전치라는 집단 병리현상에 마취되고 있는 것은 아닐까? 사람이 한 평생 살기 위해 이웃을 위해 나의 모든 것을 희생하고 봉사하는 것은 고귀하고 거룩한 일이다. 그런데 자신의 의지가 아닌 교육에 의해 강요된 희생이나 봉사는 비극이며 불행이다. 경쟁에서 살아남기 위해 남을 이겨야 하는 시대에 어떻게 행복한 살을 살 수 있을까? 강요된 ’훌륭한 사람‘이란 홍익인간도 인재도 아니지 않은가?



............................................................





손바닥헌법책 보급운동에 함께 합시다 - '헌법대로 하라!!! 헌법대로 살자!!!' ==>>동참하러가기

손바닥헌법책 선물하기 운동 ==>>동참하러가기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공교육의 정상화를 꿈꾸다'

☞. 구매하러 가기... 교보문고yes24, 알라딘,  인터파크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사랑으로 되살아 나는 교육을 꿈꾸다'...는 전자책으로 판매합니다  



촛불혁명 시민의 함성... 구매하러 가기  - yes24 , 알라딘






생각비행이 발간한 1318시리즈 '묵자 이게 겸애(兼愛)다'(생각비행) -  구매하러 가기 - YES 24, 신세계 몰 , 옥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