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역사

제주 4·3항쟁 77주년... 아직도 잠들지 못하는 남도

by 참교육 2025. 4. 3.
반응형

국가가 저지른 폭력

지체된 정의는 정의가 아니다

 

우리나라 학생들은 고등학교를 졸업하기까지 대부분 한번쯤은 제주도 여행을 하고 돌아온다.

여행에서 돌아온 학생들에게

제주 4·3항쟁에 대해 공부 많이 했느냐?”고 물어보면

제주 4·3항쟁요? 4·3항쟁이 뭔데요?”라고 반문한다.

그럼 제주도에 가서 뭘 배우고 왔니?”

도깨비 도로도 구경하고, 한라산에도 가보고.....!”

그럼 수학여행이 아니라 관광여행을 다녀 온 게로구나

“........?”

경치 구경을 할라치면 서울이나 지리산이 더 낫지 않을까?

제주 4·3을 뭐라고 표현해야 하나?

4·3 폭동..?, 4·3 반란...?, 4·3 사건...?, 4·3 항쟁... ?...

나이가 4~50 이상 된 사람들은 역사 교과서를 통해 제주폭동이라고 배웠다.

1947~48년 제주 인구의 약 이상이 희생됐다는(인구의 10분의 1이라는 설도 있고 희생자 수도 10~8, 최소 2, 최대 8만이라는 설도 있다) 역사의 비극이 있었던 4·3 항쟁이 있었던 날이다. 그것도 적군이 아닌 경찰과 국군, 그리고 혈맹이라고 굳게 믿고 있는 미군에 의해 처참하게 살육당한 사건이 제주 4·3항쟁이다.

이산하의 시 '한라산'

혓바닥을 깨물 통곡없이는 갈 수 없는 땅/발가락을 자를 분노없이는 오를 수 없는 산/제주도에서, 지리산에서 그리고 한반도의 산하 구석구석에서/민족해방을 위하여 장렬히 산화해 가신 전사들에게 이 글을 바친다.... 움직이는 것은 모두 우리의 적이었지만/동시에 그들의 적이기도 했다./그러나 우리는 보고 쏘았지만/그들은 보지 않고 쏘았다./학살은 그렇게 시작했다./그날/하늘에서는 정찰기가 살인예고장을 살포하고/바다에서는 함대가 경적을 울리고...

육지에서는 기마대가 총칼을 휘두르며/모든 처형장을 전두지휘하고 있었던 그날/빨갱이 마을이라 하여 80 여 남녀 중학생을/금악벌판으로 몰고가 집단학살하고 수장한데 이어/정방폭포에서는 발가벗긴 빨치산의 아내와 딸들을 나무기둥에 묶어두고 표창연습으로 삼다가/마침내 젖가슴을 도려내 폭포속으로 던져버린 그날

한 무리의 정치깡패집단이 열 일곱도 안된/한 여고생을 윤간한 뒤 생매장해버린 그 가을 숲/서귀포 임시감옥 속에서는 게릴라들의 손톱과 발톱 밑에 못을 박고/몽키 스패너로 혓바닥까지 뽑아버리던 그날, 바로 그날관덕정 인민광장 앞에는 사지가 갈갈이 찢어져/목이 짤린 얼굴은 얼굴대로/팔은 팔대로/다리는 다리대로/몸통은 몸통대로전봇대에 전시되어 있었다....(이산하의 시 '한라산' 일부)

정부는 왜 현대사를 감추려고 했을까

역사를 배운다는 것은 어떤 의미가 있을까? 000일 누가 무엇을 왜, 언제, 어디서, , 어떻게... 식으로 사건의 원인, 경과, 결과를 암기해 서열을 매기는 것이 역사 공부일까? 역사공부를 한다는 것은 학생들로 하여금 지식의 암기뿐만 아니라 '역사의식'을 갖도록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역사의식이란 무엇인가? 사전을 찾아보며 역사의식이란 어떠한 사회 현상을 역사적 관점이나 시간의 흐름에 따라 파악하고, 그 변화 과정에 주체적으로 관계를 가지려는 의식이라고 설명하고 있다.

역사를 전공한 선생님들도 현대사를 잘 모른다고 한다. 현재 중고등학교 학생들이 배우는 역사교과서는 좀 나아졌지만 7차교육과정 전만해도 현대사는 4~5쪽 정도뿐이었다. 그것도 5·16혁명으로 유신헌법을 한국적 민주주의라고 왜곡한 교과서를 말이다. 그렇다면 오늘날 학교에서는 역사를 어떻게 가르칠까?

지식은 가르치지만 사관(史觀)을 가르치지 않는 역사교육은 역사의식을 깨우치기 어렵다. 고조선시대, 삼국시대, 통일신라시대... 이렇게 연대순으로, 사건을 원인, 경과, 결과로 따져 기전체니 편년체가 하며 어떻고 하며 지겹도록 지식을 암기시키는 역사교육은 학생들로 하여금 진절머리가 나는 암기과목으로 기억에 남을 뿐이다.

민중사관과 영웅사관은 다르다

역사교육은 사관에서 시작해야한다. 사실(事實)을 암기하는 게 아니라 사실(史實)을 해석하는 것이 역사공부다. 사실(史實)이란 사관(史觀)이 없이는 진실을 알 수 없다. 사관(史觀)없는 사실(事實)은 사실(史實)이 되기 어렵다. 그렇다면 그렇게 중요한 사관(史觀)이란 어떤 것인가? 사관은 민주의 입장에서 보는 역사도 있고 양반이나 지배계급의 입장에서 보는 사관史觀)도 있다. 민중의 입장에서 본 사실(事實)은 민중사관(民衆史觀)이요, 지배계급의 입장에서 본 사실(事實)은 영웅사관(英雄史觀)이다.

평생 노동자로 살아갈 학생들에게 영웅사관에 입각한 역사를 가르친다는 것은 노예의 머리에 주인의 생각을 갖도록 만드는 일이다. 과거 금성교과서 파동 때 조중동과 재벌 등 수구세력들이 금성출판사가 만든 역사교과서가 빨갱이들이 만든 책이라면 목소리를 높인 이유는 민중사관의 냄새 때문이다. 노동자 머리에 주인의 가치관을 심어 주는 교육. 그것이 국정교과서를 고집하는 이유요, 학교 교육을 통해 내일의 주인공이 될 학생들에게 세뇌시키는 교육이다.

얘기가 옆으로 흘렀지만 역사를 배운다는 것은 지식이 아니라 사관을 통한 역사인식 즉 역사를 보는 안목을 체화하는 것이다. 이것도 저것도 못하면 차라리 민중사관이니 영웅사관이니 식민사관이니 기독교사관이니 불교사관...과 같은 역사인식의 안목을 키워주기라도 해야 한다. 그러나 학교 교육현장에는 민중사관은 빨갱이 사관이요 식민지사관에 가까운 역사를 전통사관정도로 가르치고 있는 것이다.

역사의식이란 부채의식

역사의식이란 오늘의 내가 살아 있을 수 있도록 한 선조들에 대한 빚(부채)‘이라고 생각하는 마음이다. 이만큼 민주화된 세상에서, 문화적인 여건에서, 지식을 전수해 준... 선조들에 대해 고마워하는 마음이 역사의식이다. 역사의식이 없으면 어떤 모습의 인간이 되는가? 자본주의가치 , 신자유주의라는 가치관에서 보면 '내가 이정도의 지식을... 이 정도의 자유를.. 이 정도의 민주주의를 누리는... 이 정도의 인권이니 복지를 향유하는 것은 저절로 온 것으로 알거나, 돈의 반대급부로 받는다고 생각한다. 자유니 인권이니... 그런 것들은 앞서간 선배들의 투쟁으로 쟁취한 피눈물로 얻게 된 결과물이라는 사실을 인식하지 못한다.

공권력에 의해 무고한 백성들이 집단살상을 당한 사건. 그것도 수만명이 경찰과 군인들에 의해 재판도 없이 빨갱이로 몰려 무참하게 살해된 사건이 4·3제주항쟁이다. 역사의식이 거세당한 국민들은 아직도 4·3항쟁은 빨갱이가 저지른 폭동으로 알고 있다. 반세기도 훨씬 더 지난 세월동안 희생자들을 범죄자 취급당하며 살아 왔다. `제주 4 3사건 진상규명 및 희생자 명예회복에 관한 특별법'까지 제정됐지만 아직도 진상규명도 보상도 제대로 받지 못한 학살의 섬. 제주도는 영원히 한의 섬으로 남을 것인가? 77주년을 맞는 제주도민의 봄은 아직도 봄이 아니다.

.................................................................

 

손바닥 헌법책 주문과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 가입 주소입니다. 여기 가시면 손바닥헌법책 회원가입과 손바닥헌법책을 주문하실 수 있습니다.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가입 ==>>동참하러 가기  

우리나라 헌법 전문과 본문 130조 '손바닥헌법책' 주문하러 가기====>>> 한권에 500원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