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부모관련자료/학교운영위원회2

좋은 학교, 학교운영위원 손에 달렸다

by 참교육 2011. 3. 31.
반응형

‘한 사회의 질(質)은 그 사회를 구성하고 있는 성원의 수준을 넘지 못한다’는 말이 있다. 아무리 좋은 제도가 만들어져 있다고 하더라도 구성원이 제도를 소화해낼 수 없다면 좋은 사회도 민주주의도 꽃피우기란 불가능하다. 오는 3월 말까지 구성을 완료해야할 학교 운영위원회도 그렇다. 5·31교육개혁의 꽃이라고 불리는 학교운영위원회도 어떤 사람이 운영위원으로 선출되느냐에 따라 좋은 학교도 될 수 있고 그렇지 못할 수도 있다.

학교운영위원회는 1995년 12월 지방교육자치에 관한 법률이 개정됨에 따라 설치 근거가 마련됐다. 학교의 위기니 학교가 무너졌다는 상황에서 학교운영위원회의 설립이야말로 위기의 학교를 구할 수 있는 대안으로 기대를 모으기도 했다. 학교운영위원회란 비공개적이고 폐쇄적인 학교운영을 지양하고, 교육소비자의 요구를 체계적으로 반영함으로써 개방적이고 투명한 학교를 운영할 목적으로 도입되었다. 즉 학교 운영의 자율성을 높이고, 지역의 실정과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창의적으로 실시하기 위해서다.

                               <사진출처:사이버 학교운영위원회 정보센터>

이러한 학교운영위원원회가 그 설립목적을 제대로 실현하기 위해서는 무엇보다도 구성원이 아이들에 대한 사랑과 교육에 대한 확고한 철학이 있을 때 가능한 일이다.

그러나 현실은 어떤가? 학교운영위원회가 설립 된 후 운영위원에게 교육감과 교육위원 선출권이 주어짐으로서 학교운영에는 관심이 없고 교육감과 교육위원 투표권을 행사하기 위한 사이비(?) 운영위원이 등장하기도 했다.

그러나 이제부터는 교육감과 교육위원선출권이 운영위원이 아닌 도민전체가 행사함으로서 교육에 대한 철학과 열정을 가진 사람이 학교운영을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할 수 있게 됐다.


좋은 학교란 좋은 지도자가 이끌 때 가능하다. 그러나 현실에서는 모든 학교장이 탁월한 지도력과 민주적이고 투명한 지도자들이기를 기대하기란 어렵다.

학교장이 교육 수요자들의 요구를 수용하지 못할수록 학교장을 도와 학교를 민주적이고 투명하게 운영하기 위해서는 훌륭한 운영위원이 선출되어야 한다.

우선 구성원의 일부인 교원위원부터 보자. 지금까지 교원위원으로 진출되는 교사들 중에는 승진을 위해 학교장에게 점수를 따야하는 절박한(?)한 사람이 없지 않았다.

이런 사람은 근무평가를 잘 받기 위해 학교장의 눈치를 봐야 하기 때문에 학교운영에 대한 비판이나 견제보다 학교장의 눈치를 살피기 바쁘다.


학부모위원은 어떤가? 학부모위원으로 당선된 사람 중에는 모든 아이들보다 내 아이가 좋은 환경에서 교육 받기를 바라기보다 어떻게 하면 교장선생님에게 내 아이가 좋게 보일 수 있을까 하는 얄팍한 계산으로 자리를 채우는 사람도 없지 않다. 심한 경우는 임기 내 단 한 건의 안건조차 제안하지 못하고 임기를 마치는 사람도 있다.

그런가 하면 학부모위원 중에는 학교와 이해관계가 있는 앨범업자나 부교재관련업자(모든 사람이 다 그런 건 아니지만...)들이 진출해 학교와 좋은 관계(?)를 유지하려고 한다. 보나마나 이런 사람일수록 학교운영에 대한 민감한 사안에 대해서는 학교장의 비위를 거스르지 않는 지혜로움(?)을 발휘하는 경우가 많다.

              <사이버 학교운영위원회 정보센터에 가시면 위 자료를 보실 수 있습니다>

학교운영위원 중에서 유일하게 간접선거(미리 선출된 교원위원과 학부모위원)로 선출되는 지역위원 중에는 학교장과 인간관계가 좋은 선후배나 지역의 명망가가 선출되기 일쑤다. 당연히 소신이나 비판보다 학교장의 손을 들어주는 역할을 하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학교를 민주적으로 운영해 보겠다는 소신 있는 교사, 내 아이보다 모든 아이들을 사랑하는 가슴 따뜻한 학부모, 학교가 폐쇄적인 공간이 아니라 지역사회학교로서 기능을 할 수 있도록 이끌어주는 지역위원들로 구성된 학교라면 학교운영은 성공적이다. 이제 각 학교가 학교운영위원 선출을 앞두고 어떤 사람을 학교운영위원으로 뽑아야 할지 교육가족의 지혜를 모아야할 때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