사랑하는 내 아이... 어떻게 기를까? 옛날에는 ‘한 집안의 고유한 기율과 풍속 등의 생활양식’인 가풍이라는 것이 있어서 자녀를 양육하는 원칙으로 삼았다. 그것도 양반 가문에서는 그런게 있었지만 노예의 자식은 노예가 되고 양반의 자식은 양반이 되는 계급사회에서 서민이나 노예들에게는 꿈 같은 얘기다. 그런데 세상이 바뀌고 민주주의 사회, 평등사회에서 자녀 교육은 누가 어떤 기준이나 원칙으로 길러야 할까?
‘가화만사성(家和萬事成)’, ‘정직하게 살자’, ‘하면 된다’, ‘바르게 살자’, ‘믿음, 소망, 사랑’, ‘잘먹고 잘 살자’, ‘웃으며 살자’, ‘소중한 사람이 되자’, ‘행복하게 살자’, ‘사랑하며 사자’, ‘굳고 곧고 맑고 밝게’, ‘규칙적인 생활하기’, ‘근면과 성실로 보람되게 살자’, ‘늘 처음처럼’, ‘뜻이 있는 곳에 길이 있다’,... 우리나라 가정에서 흔히 볼 수 있는 가훈이다. 전통사회에서 민주주의 사회로 이행하면서 행신(行身)집안이 아닌 여념((閭閻)집안에서는 가풍이 아닌 가훈이 유행했던 시절이 있었다.
그러나 그것도 386세대들에게 한때 반짝 유행했던 가훈이었지만 자유분방(自由 自由奔放)한 X세대들은 가훈조차 고리타분한 규칙으로 여긴다. 그렇다면 가풍도 가훈도 무시하는 X세대들은 사랑하는 자녀들을 어떻게 키울까? 생활양식이나 가치관조차 180도로 바뀐 Al세대들은 자녀양육까지 전문가들에게 맡기기를 좋아한다. 교육은 전문가에게...! 맞벌이세대들은 자녀교육을 영아원이나 유아원, 혹은 유치원에 맡기기를 선호한다. 나보다 교육을 전공한 선생님에게 맡기면 내가 못한 교육을 제대로 시켜 줄 것이라고 철석같이 믿는다.
'지식 두 배 증가 곡선'에 따르면 현재 13개월마다 인류 지식의 총량이 두 배로 증가하며, 그 주기는 점점 짧아지고 있다고 한다. 전문가들은 앞으로 이 주기가 최대 12시간으로 단축될 것으로 예측하고 있다. 244년의 전통을 가진 세계적 권위의 백과사전이 2010년 인쇄본 발매를 중단한 이유다. 학교에서 배운 지식도 1~2년이 지나면 금방 옛 지식이 되고 만다는 것이다. 우리나라는 이런 지식을 암기하고 그 암기한 양으로 서열을 매기는 아날로그 교육에 지금도 인생의 황금기인 청소년기를 다 빼앗기고 있는 것이다.
교육이 감당하고 있는 ‘문화 전승의 기능’을 포기하라는 말이 아니다. 지금 배우고 있는 지식은 1~2년 아니 어쩌면 그보다 훨씬 더 빨리 무용지물이 되고 말 수도 있는 지식을 암기시키는 것은 반교육이요 우민화다. 변칙이 판을 치고 가짜뉴스와 진실을 호도하는데 암기한 지식이 무슨 소용이 있겠는가? 정답을 찾는 교육,... 지식을 암기시켜 등수를 매기는 교육은 사리를 분별하고 시비를 가리는데 도움이 되지 않는다. Al시대는 지식이 아닌 창의력과 판단력이 필요하다는 것은 삼척동자도 다 아는 얘기다. 그런데 왜 우리나라 교육은 변화를 거부하고 4~50만명을 한 줄로 세우는 수학능력고사를 고집하고 있는 것일가?
프랑스 대입시험인 바칼로레아, 철학시험 바칼로레아는 프랑스 대입시험의 공통과목이다. 우리나라도 철학 비슷한 교육을 하지 않는 것은 아니다. 프랑스의 바칼로레아를 벤치마킹했는지는 모르지만 우리나라 대입시험에 논술고사가 수험생의 당락을 결정하는 중요한 시험이다. 프랑스 바칼로레아는 ‘사랑이 의무일 수 있는가?’, ‘행복은 인간에게 도달 불가능한 것인가?’, ‘기술이 인간조건을 바꿀 수 있는가?’...와 같은 철학문제지만 한국의 논술고사는 장황한 제시문을 주고 ‘제시문 (가)~(라)를 각각 요약하고, 이 제시문들을 두 그룹으로 분류한 후, 각 그룹의 관점을 기술하시오.’와 같은 국어 문제다. 당연히 철학교사가 아닌 국어 선생님이 논술을 가르친다.
Al시대 4차산업사회는 가르치는 교육이 아니라 스스로 배우는 교육, 정답이 하나가 아닌 여러개인 교육...이 대세다. 지식을 암기시키는 교육이 아니라 피교육자가 가지고 있는 가능성을 찾아내 이끌어 주고 안내하는 교육이 경쟁에서 살아남는 길이라고 믿는다. 그런 관점에서 보면 오늘날 학교교육은 개혁이 아닌 혁명이 필요하다. 지식주입으로 4~5십만명의 수험생을 한 줄로 세우는 수학능력고사를 과감하게 폐기처분해야 할 교육혁명... 그런데 우리나라 교육학자들은 바칼로레아를 벤치마킹해 논술고사를 바꾸듯이 경쟁교육, 교육을 상품으로 만드는 전문가들이 교육정책을 주도 하고 있다. 10년 후에 어쩌면 무용지물이 되고 말 지식을 암기하는 교육, 정답을 찾는 교육에 언제가지 목을 맬 것인가?
...................................................................
'교육정책 > 교육개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우리는 왜 왜색문화에서 벗어나지 못하는가 (20) | 2020.11.02 |
---|---|
우리도 이런 교육 좀 하면 안될까? (18) | 2020.10.27 |
일등만이 살아남는 교육은 반교육입니다 (18) | 2020.07.23 |
코로나 19 정국에서 실종된 교육 찾기 (18) | 2020.07.07 |
‘방과후학교’를 보는 두 가지 시각 (12) | 2020.06.2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