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성교육자료/철학

아이들 철학공부 시키려다 시작도 하기 전에...

by 참교육 2015. 9. 18.
반응형

선생님, 참석하려는 사람들이 몇명 없어요

엊그제까지만 해도 처음 9명 정도에서 서너명이 빠지고 다 참석한다고 했잖아요?”

글쎄요, 그게...”

 

 

 

황당하다는 것은 이런 경우를 두고 하는 말인가? 어제 내가 하겠다는 일에 공감하고 일을 주선해오던 B엄마로부터 들은 애기다. 내일 어머니들과 만나 아이들 앞으로 할 교육계획에 대해 상의하려고 했던 날입니다. 그렇게 기다리고 있었던 날인데...이런 소식을 전해 듣고 아연실색하지 않을 수 없었습니다.

 

어쩌면 아이들과 만나는 내 마지막 교육이 될 수 있다는 생각에서 참 많은 생각을 했습니다. 더구나 학교가 하지 못하는 철학공부를... 내 건강이 하락하는 한 천사 같은 아이들에게 도움이 되는 일이라면... 제도교육이 못하는 한계를 내가 살아온 경험과 일천한 철학지식이지만 재능기부를 한다는게 얼마나 보람 있는 일인가?’ 생각만 해도 기분이 들떠 손꼽이 기다리고 있었는데 이런 예기를 전해 들은 것입니다.

 

만나서 얘기하다 나온 얘기라면 어머님들.... “저는 나쁜 사람이 아닙니다”, “손자 같은 아이들에게 제가 무슨 억하심정이 있어 아이들을 잘못된 길로 인도하겠습니까?” 이런 말이라도 할 수 있었을 텐데... 순진하게도 약속을 한 엄마들을 믿고 마땅한 장소가 없다기에 제가 살고 있는 아파트 노인정에 찾아가 아이들이 공부하는데 장소를 좀 빌리자며 혀 굽은 소리를 해 어렵다는 노인정 회장의 말에 노인들에게 SNS 특강까지 해주기로 약속까지 하고 겨우 허락을 받아 뒀는데...

 

 

제가 어떤 강의를 하려고 했는지 한 번 보시겠습니까?

 

 

처음 참여를 희망했던 사람들은 초등학생과 중학생.... 모두 9명정도였습니다. 중학생은 한 명 뿐이라 친구들 두서너명 더 데려오면 많지도 적지도 않고 그렇게 가족처럼 공부할 수 있을 것이라고 믿었지요. 경기도에서 선택과목으로 공부하고 있는 철학교재를 구입하기 위해 어렵게 구입처를 확인해 놓고... 그 교재를 참고로 나를 찾아 가는 길을 큰 주제로 하고 생각 넓히기를 소주제로 해서 , 우리, 부모, 지역사(향토사), 역사란 무엇인가...’ 이런 순으로 나를 알고, 내 몸의 소중함과 내 부모, 우리고향 그리고 우리문화와 우리역사에 대한 애착과 역사의식까지... 이렇게 인식의 지평을 확대해 나갈 계획을 세웠습니다.

 

다음 달에는 '학교는 왜 다니지....' 이런 주제로 국어, 영어, 수학과 같은 도구 교과와, 인간 세상에 숨겨놓은 비밀을 찾는 인문학과 자연속에 숨겨진 비밀을 탐구하는 자연과학 그리고  삶에 여유를 주는 예,체능교육....에 대해 학교가 무엇을 가르치며 왜 배우는지를 찾아가는 여행을... 목적없는 학교 교육에 방향성을 찾아 주고 싶었던 것입니다. 이런 내용을 부모와 함께 그리고 스스로 찾고 토론을 통해 인식의 지평을 넓힐 수 있는 교육을 맛보게 하고 싶었던게 제가 이번에 시도했던 철학공부였습니다. 

 

하루 한 두 시간씩... 첫 시간은 철학... 둘째 시간에는 글쓰기 지도를, 가끔은 놀이를 통한 인성지도를 할 생각이었습니다. 일주일에 한번씩은 전통놀이를 통해 얻을 수 있는 규칙지키기, 인내심 기르기, 협동, 종중과 배려...를 배우고 체화하는 시간도 있었으면 좋겠다는 생각도 했습니다. 놀이를 빼앗긴 아이들... 흑판에 '규칙이란 000 것이다'라고 적고 베껴 암기해 아는 것과 스스로 정하고 지키지 않으면 안된다는 것을 놀이를 통해 터득하는것. 그것이 진정한 교육이라는 것을 배울 수 있는 하는게 놀이지도가 아닐까요?

 

내가 아이들에게 글쓰기지도를 해야겠다는 생각을 하게 된 것은 말은 너무들 잘하면서 문자로 표현하라면 한 줄도 못하는 학교교육의 허점을 채워주고 싶어서였습니다. 아이들에게 블로그를 만들어 주고 블로그에다 자신의 생각을 쓸 수 있도록 하는 재미를 알게 해 준다면 아이들이 얼마나 좋아할까? 부모에게 하고 싶은 얘기, 친구에게 못한 이야기...를 자신의 공간에 적는 습관을 길러 준다면.... 이렇게 자신의 글들이 모아지면 나중에 그 글들을 모아 책으로 엮어 줄 수도 있겠다는 꿈을 꾸고 있었습니다.

 

 

<이미지 출처 : 보안뉴스 미디어>

 

 

또 한 가지 제가 꿈꾸던 것은, 이 공부방이 지역사회학교로서의 역할을 해 보고 싶었습니다. 엄마와 아빠가 교사로 함께 참여하는 것입니다. 사실 요즈음 젊은 부모들 중에는 다양한 전문성을 가진 분들이 많습니다. 육아휴직을 하고 있는 분, 또 유치원 교사나 교사 자격증 소지자... 자연과학분야 전공을 하신분... 이런 다양한 역량을 투입한다면... 생각만해도 참 좋은 공부를 할수 있겠다는 꿈에 부풀어 있었습니다.

 

또 우리가 사는 지역 인사를 활용하는 방법도 있습니다. 정년퇴임을 하신 선생님들... 현직교사들... 그리고 농사를 짓는 분, 상업을 하시는 분... 교육청 장학사나 교육감님도 초청해 수업을 해달라고 부탁할 참이었습니다. 아이들이 이런 분들을 만나 그들이 하는 일을 듣는다면 내가 어른이 되어 무슨 직업을 가지면 좋겠다는 꿈도 꿀 수 있지 않겠습니까? 사실 학교란 그런 꿈을 만들어 주는 곳이기도 하잖아요? 이런 분들과 토론도 하고 그분들의 격려를 듣는다면 아이들이 얼마나 신나하겠습니까?

 

사실 제 블로그를 보면 조중동을 보던 사람들은 으스스하게 느낄지도 모릅니다. 범생이처럼 공부만 하던 사람이 노동자얘기도 쓰고 정치얘기도 많이 적어놓았으니까요. 민주시민으로서 자기 생각을 INS매체를 통해 의사 표시는 하는게 나쁜 일이 아니잖아요? 생각의 차이는 얼마든지 있을 수 있거든요. 그런데 철학공부에 참여 하겠다는 분들이 내가 아이들에게 무슨 종북의식(?)을 심어주기라도 한다고 판단한 것일까요?

 

예를 들어 중학생정도가 된다면 아이들이 궁금해 하는 문제를 주제로 토론을 할 수는 있을 거예요. 엄마들이 함께 수업에 참여 하는데 엄마들도 자유롭게 의시표시를 하는데 또 내 생각을 이렇다고 강제로 주입하지도 않을 건데... 결론을 맺지 않고 열린 마무리를 한다면 문제가 될게 있을까요? 실제로 제가 종북발언(?)을 한다고 해도 결론은 가정에 돌아가 토론을 하면 더 좋은 공부가 되지 않을까요?

 

아마 참여를 철회한 학부모들이 겁을 먹게(?) 된 이유가 제가 구상했던 (‘청소년 철학공부 이렇게 시작해 볼까 합니다’ -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라는 안내가 화근이 된 것 같습니다. 그 구상과 제 블로그를 보신 분들이 이런 사람에게 우리 귀한 아이를 맡긴다는 것은 위험천만한 일이다.’ 이런 판단을 한 사람도 있지 않았을까 하는 생각도 들고요. 생각해 보면 아쉽고 섭섭하기는 하지만 하지 않겠다는 분들을 억지로 하라고도 할 수 없는 일...! 꼭 하고 싶어 하는 두분 엄마들께는 정말 미안하지만 일단 보류하자고 결론을 통보하기로 했습니다. 며칠간 꿈에 부풀어 준비해 오던 늙은 교사의 한여름 밤의 꿈은 물거품이 되고 말았지만 행복한 꿈이었습니다.

 

 

-----------------------------------------------------------------------------------------

 

2014년 4월 16일...

오늘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들을 생각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가족들의 아픔에 함께 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교보문고 
http://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8994502151&orderClick=LEA&Kc=

예스24 
http://www.yes24.com/24/Goods/9265789?Acode=101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E899450215

북큐브 
http://www.bookcube.com/detail.asp?book_num=13090003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