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관련자료/학교

꿈키움학교, 교장직위 해제가 해법 아니다

by 참교육 2014. 8. 19.
반응형

 

교사 - 화장이 부담스럽다. 생각을 좀 해봐라.

 

학생 - 부담스럽다고 생각하지 않는다. 선생님의 개인적인 생각이다.

 

교사 - 청소년기에 피부가 성장을 하는 데 방해가 된다.

 

학생 - 그런 것들을 감수하고 화장을 하는 것이고 그렇다고 침해할 수 있는 권리가 없다.

 

교사 - 공동체라면, 규칙이 있다면 지켜야 한다.

 

학생 - 그런 규칙이 생긴다면 지킬 수 없다. 대안학교에서 이런 것을 제한하는 것은 아니라고 본다.

 

교사 - 대부분 학교에서 화장을 못 하게 하지 않느냐.

 

학생 - 일반 학교에서는 학업에 방해가 되어 그렇다고 한다. 여기서는 이유가 무엇이냐?

 

교사 - 학업이나 활동에 방해가 되지 않느냐.

 

학생 - 전혀 그렇지 않다. 성적도 상위를 유지하고 뒤처지는 것 없이 열심히 하고 있다. 화장과 별개다.

 

교사 - 그러냐?

 

학생 - 화장을 제한하고 선생님들의 행동이 권위적이라면 일반 학교와 다른 점이 무엇이냐.

 

교사 - 왜 달라야 하나?

 

학생 - 다르다고 알고 왔는데 그렇다면 우리가 이 학교에 온 이유가 없지 않으냐?

 

꿈키움학교의 학부모가 공개한 학생과 교사의 대화(출처 : 경남도민일보)

 

<이미지 출처 : 경남도민일보>

 

경남최초의 기숙형공립대안중학교인 꿈키움학교가 학생체벌로 시끄럽다. 교사들에게 자녀가 체벌을 당했다는 학부모들이 체벌교사와 학교장에 대한 책임을 물어 박종훈 경남교육감이 학교장을 직위해제 시켰지만 학교운영위원장을 비롯한 일부 학부모들은 학교장에게만 책임을 물을 수 없다면 반발하고 있어 2학기 개교를 앞두고 정상적인 운영이 어렵게 됐다.

 

대안교육을 하겠다는 학교에서 어떻게 '교사들의 체벌' 문제가 나타날 수 있을까? 대안학교란 기존의 제도권 학교에서 이루어지던 교육방법에서 한 차원 높은 새로운 교육을 하겠다는 시도에서 출발한 학교다. 그런 학교에서 어떻게 권위주의적이고 획일적인 체벌로 학생들을 지도하겠다는 발상이 가능할까?

 

문제의 발단은 이 학교를 설립한 교육감의 대안마인드 부재에서 찾아야 한다. 고영진 전 경남교육감은 돌봄과 치유로 몸을 깨우고 마음을 살피는 교육 비전과 서로 이해하고 소통하며 함께 성장하는 꿈 맘 끼키움육성을 위해 현장실습 등 체험, 인성위주 교육이나 개인의 소질·적성개발 교육 등 개인적 특성에 맞는 다양한 교육을 실시하겠다며 지난 326일 문을 열었다.

 

위의 학생과의 대화에서 볼 수 있듯이 대안교육에 대한 교사들의 철학이 없이는 대안학교는 성공하지 못한다. 대안교육이 설립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는 학교장을 비롯한 교사들의 위기의 교육, 문제풀이식 학교교육의 탈출구로서 새로운 학교모델을 창조하겠다는 의지와 철학이 없이는 성공할 수 없다.

 

 

사실이 이러함에도 불구하고 고영진 전 교육감은 경남진산학생교육원옆에 꿈키움학교를 설립한 것부터가 잘못된 출발이었다. 부적응학생 위탁교육기관인 경남진산학생교육원옆에 중학교단계인 대안학교를 설립한다는 것 자체가 문제아(?)를 분리수용, 순치시키겠다는 반교육적인 발상이 아닐 수 없다.

 

잘못된 출발은 학생모집단계에서부터 나타난다. 62명 정원 모집에 겨우 30명이 지원, 불안전한 출발이 이를 증명한 바 있다. 결국 꿈키움학교를 설립한 고영진 전교육감이 부적응학생 위탁교육기관인 경남학생수련원'과 함께 이 학교를 설립한 의도는 대안교육이 아닌 정상적인 학생(?)에게 피해를 주는 학생을 분리해 놓겠다는 '문제아 수용' 의도가 담겨있다는 의심을 지울 수 없다.

 

학생 체벌에 때문에 꾸려진 학부모대책위는 교육감을 만나 우선 '교장직위해제'라는 극약처방을 받아 내기는 했지만 문제는 학부모들의 의견이 갈라져 학생들만 피해를 보게 됐다. 교사들도 직업인이기 이 전에 감정을 가진 인간이다. 이런 일을 겪고 수업에 들어가 전과 같이 학생들과 함께 정상적인 공부할 수 있을지 의문이다. 결국 학생들에게 상처만 주고 문제는 그대로 남는 꼴이 됐다.

 

박종훈 경남교육감은 대안교육의 올바른 정착을 위한 학부모 모임의 요구를 수용해 '학교장 직위해제'라는 극약처방을 했지만 그것이 문제의 해법이 아니라는 것은 학부모들도 알고 있다. 꿈키움학교를 설립목적에 맞게 운영하기 위한 해법은 무엇일까?

                                        

 

<이미지 출처 : 경남도민일보>

 

가장 중요한 것은 학교장이나 교사들이 아닌 학생들의 입장에서 접근해야 한다. 이번 일로 한 학생이라도 마음의 상처를 받거나 피해를 받아서는 안 된다. 그런 차원에서 이번 체벌 사건의 학부모들의 주장이 사실여부부터 철저하게 가려져야 한다. 여론이 두려워 적당히 얼버무린다면 제 2, 3의 체벌사건이 재연될 수 있다는 사실을 잊어서는 안 된다.

  

◆. - 꿈키움학교문제의 해법은 무엇일까?

 

1. 꿈키움학교와 경남진산학생교육원’은 분리해야 한다.   

 

이번 사건의 원인제공자는 '대안학교를 문제아 수용소'라고 보는 고영진 전 경남교육감의 대안교육관이다. 교사체벌문제도 이와 무관하지 않다. 형법대상자에서도 제외되는 어린 중학생이 무슨 죄를 그렇게 짓기에 따로 학굘르 세월 교화시키겠다는 것이일까? 문제의 해법은 꿈키움학교와 부적응학생 위탁교육기관인 경남진산학생교육원을 분리해 내는 일이 먼저다. 학교에서 감당 못해 위탁교육을 하는 위스쿨 옆에 어린 중학생들이 기숙형으로 함께 지내게 한다는 것은 인간적이지도 교육적이지 못하다. 사감도 있고 지도교사도 함께 있다고 하겠지만 대안교육전문가들은 이 경우 교사의 지도 범위를 벗어날 수 있다는 게 전문가들의 충고다. 

 

2. 체벌교사를 전원 교체해야 한다. 

 

교사는 교사이기 이전에 인간이다. 학생들에게 불신을 받고 학부모들로부터 신뢰가 깨어진 사람이 교육을 감당할 수 없다. 교육청은 체벌문제의 진상을 철저하게 가려 관련 된 교사를 이번 9월 인사이동 때 전원 교체해야 한다. 교육은 교육자와 피교육자간의 신뢰에 바탕을 두고 사랑으로 이끌어 행위라고 보면 이 상황에서는 교육이 불가능하다. 불신과 미움이 있는 사제지간에 교육다운 교육을 어떻게 기대할 수 있겠는가?

 

 3. 대안교육에 대한 교사연수가 선행되어야 한다.

 

교육의 교사의 수준을 넘지 못한다고 했다. 대안 교육도 예외가 아니다. 현행 학교교육은 교육과정이 있어도 형식일뿐 사실은 더 좋은 상급학교로 진학하기 위한 입시위주의 교육에 매몰돼 있다. 이런 교육을 버꿔 교육을 해보자고 시작한 게 대안학교다. 이런 학교에 체벌로 행동변화를 이끌어 내겠다는 것은 대안교육 교사의 자세가 아니다. 승진점수가 필요한 교사들이 대안 교육에 참여하거나 대안교육에 대한 신념도 철학도 없는 사람에게 대안 교육을 맡긴다는 무모한 짓이다. 대안학교 교사의 자질이 대안교육적이어야 하는 이유다. 

 

4. 학교장의 경연 철학이 성패를 좌우한다.

 

무릇 교육의 성공은 학교장의 헌신과 봉사 그리고 열정과 사랑이 전제되었을 때 가능한 얘기다. 대안교육을 이끌어 나가는 학교장의 확고한 경영 마인드와 카리스마 없이 운영되는 대안 학교는 항해 경험이 없는 선장이 이끄는 배와 다를바 없다. 물론 대안학교가 교장 한 사람의 의지대로 움직이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구성원 모두가 참여해 민주적인 토론과 공감대를 만들어 가는 절대적인 힘은 학교장의 역량에 달려 있다. 

 

입시교육의 한계를 극복해 교육다운 교육을 해보겠다는 교사들이 없는 대안학교는 성공할 수 없다. 학부모들이 내 아이만이 아닌 모든 아이들이 함께 만들어나갈 공동체를 건설하겠다는 합의를 만들지 못한다면 또한 마찬가지다. 현재 꿈키움학교를 살려 대안학교로서 제자리 매김 하기 위해서는 교육감의 혜안과 결단 절대적으로 필요하다. 꿈을 잃은 학생들이 있는 꿈키움학교에 어떻게 꿈을 키울 수 있을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