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사망원인 1위 '자살'
2025 수능응시생 31%가 'N수생' 21년 만에 최다
‘수험생’, ‘재수생’, ‘반수생’, ‘N수생’.... 수험생 재수생도 모자라 대학을 중도 탈락한 학생이 치르는 ‘반수생’, 반수생도 모자라 원하는 점수를 받을 때까지 수없이 계속 치르는 시험이 N수생이다. N수생이란 자연수 'N'(Number)과 재수생의 합성어로 '(동일 시험에) N번 응시했다'라는 뜻으로 고등학교 3학년 '현역'이 아닌 상태에서 수능을 다시 치르는 시험을 의미한다.
■ ‘자살공화국’도 모자라 ‘시험 공화국’
인구 10만 명당 10.8명꼴로 청소년이 자살하는 나라,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자살, 2025학년도 수능에는 전년도보다 1만882명 많은 52만2670명이 응시했다. 이중 31.0%인 16만1784명이 N수생이다. 지난해보다 1.3% 늘어난 수치로 2004년 18만4317명 이후 21년 만에 가장 많았다. 이런 현실을 두고 최중철 2025학년도 대학수학능력고사 출제위원장은 ““킬러문항(초고난도 문항)을 배제하고 적정 난이도의 문항이 고르게 출제됐다”며 “공교육 과정에서 다루는 내용만으로도 변별력을 확보할 수 있도록 했다”고 발표했다.
■ “역대 최대 사교육비 이어 N수생도 최대”
지난 14일 치른 대학수학능력시험(수능)에 N수생이 21년 만에 최대를 기록한 사태에 대해 전국교직원노동조합(전교조)이 “죽음의 입시경쟁을 철폐하라”고 정부에 요구했다. 15일 전교조는 논평에서 입시경쟁은 학생들에게 넓은 세상을 보게 하지도, 큰 꿈도 펼치지 못하게 만들고 있다”면서 “올해 수능은 의대 증원 등의 여파로 재수생 수가 역대 최대치를 기록했다. 역대 최대 사교육비 지출을 기록한 데 이어, 재수생 비율까지 역대 최대를 기록한 현실이 우리 교육의 민낯”이라고 짚었다.
■ 일등 지상주의가 교육목표가 된 학교
일등지상주의가 보편적 가치로 자리매김하는 분위기다. 초등학교에서부터 학급 일등, 전교 일등이 사실상의 교육목표가 된지 오래다. 전교 1등, 일류고등학교, 일류대학, 일등지상주의는 학교 교육의 목표로 만들고 학부모들까지 합세하고 있다. 일등이 무조건 나쁘다는 말이 아니다. 경쟁사회에서 살아남기 위해 특히 국제사회에서 경쟁이란 무시할 수 없는 생존전략이기도 하다. 그런데 최근 나라 안에서 벌어지고 있는 경쟁지상주의는 도를 넘고 있다는 느낌을 감출 수 없다.
■ AI시대에도 일등지상주의가 통할까
우리 헌법은 인간의 존엄성과 자유 평등의 가치를 지향하지만, 현실에서는 서열이 자리매김하고 일등지상주의는 갈수록 극성이다. 경쟁사회에서 경쟁이 있어 더 좋은 결과를 만드는 데야 반대할 이유가 없지만, 공정성이 무너진 불의한 경쟁은 정당화될 수 없다. 가요를 부르는 가수와 민요를 부르는 가수를 누가 일등인가를 가리는 서열이 공정한가? 권투의 라이트급과 미들급 선수를 링 위에 세워 시합을 시키는 경쟁은 공정한 경쟁이 아니다.
과정을 무시하고 결과로 나타난 일등은 규칙 위반이다. 가요나 운동경기에서 뿐만 아니다. 경제도 마찬가지다. 동네 슈퍼와 재벌이 경쟁을 하면 시합 전에 승패가 결정 난 경쟁이다. 이런 불공정을 공정한 경쟁으로 바꾸기 위해 만든게 규칙이요 규범이다. 선거철이 되면 너도나도 ‘규제를 풀겠다’고 팔을 걷어붙인다. 시합 전에 강자의 손을 들어주는 경쟁. 과정은 무시하고 결과로 승패를 가리겠다는 것이다. 수단과 방법을 가리지 않는 사람들… 그들이 훌륭한 사람 유명한 사람, 지도자가 되면 공정한 사회일까?
■ 경쟁을 교육이라고 착각하는 사람들...
“성공하려면 경쟁하지 마세요.”라고 주장한 지식인이 있다. 바로 전직 미국 대학 교수이자 많은 독자층을 확보하고 있던 베스트셀러 작가인 혜민 스님이다. 그는 한 신문의 칼럼에서 “세상을 좀 더 나은 쪽으로 변화시키면서 성공하고 싶다면 경쟁이 없는 곳으로 가서 독창성을 가지고 새로운 사업이나 창작물을 만들어내야 한다. 처음엔 주위의 반대가 있을 수 있겠지만 그것에 굴복하지 않고 포기하지 않고 나아간다면 세상을 바꾸는 큰일을 하게 될 것”이라고 했다.
‘인류의 역사에서 경쟁이 없던 시대가 존재했다. 중세 시대 서양에서는 경쟁 자체가 ‘악’이라는 생각에서 죄악으로 규정하고 때로는 살인에 처하던 중범죄였다. 하지만 근대를 거쳐 현대에 이른 지금, 우리 사회는 경쟁 이데올로기가 교육 영역뿐만 아니라 한국 사회 전체를 지배하는 이념이 된지 오래다. ‘이생망’ ‘헬조선’ ‘N포 세대’... 대한민국은 경쟁지상주의의 천국이자 사교육 공화국으로 경쟁이 마치 성공의 비결처럼 여긴다. 경쟁교육은 야만이다. 교육하는 학교, 사람을 사람답게 키우려면 암기한 지식으로 사람의 가치까지 줄로 세우는 수학능력고사는 폐지해야 한다.
'교육정책 > 교육개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세상에서 제일 하기 어려운 말이 뭔지 아세요 (54) | 2024.11.26 |
---|---|
대학수학능력시험을 폐지해야 교육이 산다 (35) | 2024.11.17 |
비판의식을 소거 시키는 역사교육, 왜? (18) | 2024.11.08 |
대학이 철학과를 폐지하는 이유 있었네 (22) | 2024.10.30 |
지식만 가르치고 지혜를 가르치지 않는 학교 (17) | 2024.09.2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