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사는 이야기

서울 집값 문제 공급확대로 풀 일인가?

by 참교육 2020. 8. 4.
반응형

오늘 발표될 정부의 <서울·수도권 주택공급 대책>에는 ‘35층 제한을 풀고 공공임대 의무를 부여하는 ‘10만 가구 이상공급, 서울 역세권을 중심으로 한 도심 용적률을 완화하고 태릉골프장 등 신규 택지 조성, 3기 신도시 용적률 상향 등이 거론되고 있다. 경향신문이 보도한 이 대책에 따르면 태릉을 비롯한 서울·수도권에서 자투리땅을 모아 10만호 이상, 20만호 이하를 공급하는 방안을 최종 조율 중이라는 보도다.



기대보다 걱정이 앞서는 문재인 정부의 부동산 대책이다. 세계에서 유일한 전세제도가 문재인정부 들어 무주택 세입자 보호를 위한 전월세 상한제와 계약갱신 청구제가 7월 말부터 도입된 가운데, ‘전세 소멸론월세 정상론을 둘러싸고 여야 간 논란이 계속되고 있다. 문제의 핵심을 모르는 무지의 극치다. 우리나라는 2013년 주택보급률이 103%로 주택 수(1897)가 가구 수(1841) 규모를 넘어섰다. 그런데 일반 가구의 44%가 전세나 월세 등으로 사는 무주택 가구로 2채 이상을 소유한 다주택 가구가 24.6%... 광주 서구에 사는 40대 남성은 주택을 1,659채나 소유하고 있다.


"한국 팔면 캐나다 6개를 살 수 있다"

15년 전, 프레시안이 민주노동당 심상정의원실의 손낙구 보좌관이 쓴 기고문 글 중에 기사다. 15년 전 이야기니 지금은 얼마나 달라졌을까? 한국은행 국민계정부 국민B/S팀이 조사한 '우리나라의 토지자산 장기시계열 추정'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명목 토지자산 가격 총액은 196419300억원에서 20135848조원으로 증가해 우리나라 땅값은 50년 새 무려 3,030배 가 올랐다고 발표했다. 만약 1960년대 10만원 짜리 신사동 땅을 사 두었다면 지금은 1억이 되었을 것이고 당시 은마아파트 분양가 평당 68만원인 것을 감안하면 1억으로 4채를 충분히 살 수 있었을 것이다.


<부동산 공화국 대한민국>

대한민국을 일컬어 부동산 공화국이라고 한다. 부동산 소득은 불로소득이다. 땅만 그대로 소유하고 있으면, 노동력을 투입하지 않아도 절로 소득이 생긴다. 경실련이 지난 20173월 국세청 자료를 바탕으로 조사 발표한 자료를 보면, 1964년에서 2015년 사이 한국의 땅값은 6702조 원 올랐는데 이 중 상위 1%가 가치의 38.1%(2551조 원), 상위 10%82.8%(5546조 원)를 독점했다고 지적했다. 정치실패가 만든 결과다. 경실련 표현을 빌라면 재벌, 관료, 정치인, 언론, 학자를 일컬어 부동산투기로 천문학적 부를 축적한 건설 5'이라고 꼬집었다.



<부동산 공화국 누가 만들었을까?>

경북대 이정우 교수(2007)가 각종 자료들을 토대로 만든 역대정권의 부동산 성적표를 보면 부동산 공화국을 만든 주범이 누군지 알 만하다. 박정희 통치하의 대한민국에서 일어난 지가 상승 및 그로 인해 발생한 불로소득의 규모는 상상을 초월한다. 박정희의 집권기인 1963~79년의 16년 동안 전국의 지가 총액이 3조 원에서 329조 원으로 폭등함으로써 무려 100배에 달하는 상승률을 기록했다. 박정희 통치 전 기간을 합하면 토지 불로소득은 생산소득의 두 배 반을 가볍게 넘는다. 박정희가 다스리던 시절의 대한민국 연평균 지가 상승률은 다른 정권들이 엄두도 내지 못할 수준이다.(프레시안)


토지문제는 자산양극화, 토지의 저사용, 개발 갈등 유발, 주거 환경 악화, 생산 및 소비 위축, 경기변동의 진폭 확대, 예산의 낭비와 왜곡, 토건형 산업구조의 고착화, 부정부패 양산, 노사갈등의 야기 등 만악의 근원 역할을 한다. 이 같은 토지불로소득 양산구조를 경제성장의 주된 동력으로 삼았던 것이 바로 박정희 경제체제였다. 건설 재벌과 손잡고 선분양제 등의 대기업 친화적 제도를 만들어 강남을 개발해, 전국적으로 토지 투기 열풍이 일어나 땅이 평등한 나라였던 한국이 투기 공화국으로 변했다는 진단이다. 대한민국은 이렇게 박정희가 만들어 놓은 부동산 공화국의 덫에서 아직도 허우적거리고 있다.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 입시전형과 흡사...?>

우리나라 부동산 정책은 학교폭력 대책이나 대입전형과 닮아도 너무 닮았다. 학교폭력문제가 심각해지자 내놓은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에 관한 법률을 비롯해 등하교 지킴이도 모자라 CCTV 통합관제, 스쿨 폴리스제, 복수 담임제, 교사자격증 취득 시 학교폭력 예방 및 대책과목을 이수 의무화...까지 그 수를 헤아리기조차 힘든다. 입시제도가 국민의 삶의 질을 좌우하는 현상을 바로 잡겠다고 3,200여 가지 전형방법을 내놓았지만 달라지기는커녕 교육의 목표는 여전히 일류대학이다. 자다 남의 다리 긁는... ‘헛다리 정책으로 애궂은 학생들과 학부모들만 희생시키고 있다.


<문재인정부 부동산 정책 성공할 수 있을까?>

문재인 정부 부동산 정책의 핵심기조는 '주택 공공성 강화'. 다른 말로 표현하면 주택은 상품이 아니라 국민들이 누릴 기본권이라는 뜻이다. 교육과 의료를 시장판에 던져 놓으면 어떻게 되는가? 의료가 이 정도로 안정될 수 있었던 것은 공공성을 강조한 의료보험 덕분이다. 그런데 교육은 어떤가? 우리나라 교육은 공공성을 팽개친 상품이 된지 오래다. 학생과 학부모를 수요자로 교육부와 학교는 공급자다. 교육을 이윤의 극대화가 목적인 상품으로 만든 결과가 오늘 날 교육이 무너진 원인 제공자가 아닌가? 주택 보급률이 103%나 되는데 용적률을 완화하고 ‘35층 제한을 풀면 서울 집값문제가 해결 되는가? ‘공공성 강화라는 초심을 잃은 주택정책이 학교폭력 대책과 대입 전형을 닮아가고 있다.




...................................................................





손바닥헌법책 보급운동에 함께 합시다-'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가입...!'==>>동참하러 가기

손바닥헌법책  ==>> 구매하러 가기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