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관련자료/교과서

국영수만 잘 하면 훌륭한 사람이 되는가?

by 참교육 2015. 9. 29.
반응형

국정교과서 문제가 사이버공간을 뜨겁게 달구고 있다. 박근혜정부가 검인정교과서로 된 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로 바꾸겠다는 시도를 하면서 부터다. 교과서란 무엇이며 국정교과서로 바꾸면 무엇이 문제인지 살펴보자.

 


교과서란 ‘교육받을 때 쓰는 책’이다. 우리나라와 같이 수학능력고사로 사람의 운명을 좌우하는 현실에서는 교과서는 곧 금과옥조요, 삶의 지침서다. 어떤 교과서로 배우느냐에 따라 그 사람의 가치관이 다른 인격자로 길러낸다. 더구나 철학이나 사관이 없는 역사를 배우는 학생들에게 교과서란 교과서가 곧 절대 진리다.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는 ‘1종교과서인 국정교과서’와 ‘2종교과서는 검인정교과서’ 그리고 ‘자유발행제’가 있다. 현재 우리나라는 국정교과서와 검정교과서를 병용해 사용하고 있으나 자유발행제는 채택하지 않고 있다. 세계에서 국사교과서를 국정교과서 제도를 운영하는 나라는 북한과 베트남, 그리고 스리랑카와 몽골 정도다. OECD 국가 중 국정교과서를 사용하는 나라는 그 어디에도 없다. 심지어 과거 일제강점기나 이승만 정권에서도 국정교과서가 아닌 검인정체제를 유지했다. 그런데 왜 박근혜정부는 국가교과서를 국정제로 가겠다는 것이다.

 

 

교과서의 역사를 보자.

 

우리나라의 교과서는 삼국 시대에 한문 교과서가 전부였다. 그 후 조선 시대에 교과서가 예서로 보급되었고, 당시 교과서는 대학, 논어, 맹자, 중용, 예기, 춘추, 시경, 서경, 주역으로 모두 한자였다. 그 후 한글이 발명되면서 한글로 된 교과서가 나오기 시작했고, 19세기 말에 한글 교과서가 한자 교과서보다 먼저 전국적으로 보급되기 시작하였다. 일제 강점기에는 한글 대신 일본어로 교과서를 쓰기 시작하면서 일본어 교과서 (일명 가나 교과서)가 보급되기 시작하였고, 광복 이후 한글로 쓰인 교과서가 다시 사용되기 시작하였다.


삼국시대나 조선시대 그리고 일제강점기 시절 배웠던 교과서에 담긴 지식이 오늘날을 사는 사람들에게 필요할까? 교과서가 금과옥조요, 그런 지식이 살아가는데 절대적으로 필요한 것인가를 생각해 보지 않고 국가가 필요한 지식이라고 골라 묶은 국정교과서가 왜 진리가 되는가? 지금 문제가 되고 있는 국사교과서만 해도 그렇다. 역사란 사학자들이 역사적 사실(事實)을 오늘을 사는 사람들이 반면교사로 삼기 위해 골라 낸 사실(史實)이다. 사가들이 사관에 따라 골라낸 사실(史實)이 곧 역사다. 그것이 영웅사관으로 기록된 교과서든, 전통사관이나, 민중사관에 의해 기록된 교과서든 무조건 많이 암기만하면 좋은가? 

 

현재 학생들이 배우는 교과서에는 어떤 것이 있을까?

 

초등학생들은 음악, 실과, 체육, 영어, 미술은 검인정교과서요, 그 밖의 우리들은 1학년, 사회과 탐구(3-1, 4-1)교과를 비롯한 모두 교과서는 국정교과서다. 중학생은 사회, 사회과부도,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음악, 미술, 영어, 국어, 한문, 정보, 환경은 검인정, 그 밖의 국어, 도덕, 국사는 국정교과서로 배운다.


고등학생들이 배우는 국어, 도덕, 한국사, 사회, 수학, 과학, 기술가정, 체육, 태권도, 음악, 미술, 고등 영어... 한국사, 세계사, 사회문화, 세계지리, 법과 정치, 경제, 동아시아사, 한국지리, 윤리와 사상, 생활과 윤리, 물리, 화학, 생물, 수학 I, 수학 II, 미적분과 통계 기본, 적분과 통계, 기하와 벡터... 는 검정교과서요, 나머지 수학의 활용, 과학사, 해양 과학, 아랍어 I, 아랍어 II, 교련.. 등은 1종교과서인 국정교과서로 배운다.

 


교과서를 늘어놓고 보니 우리나라 학생들은 참 많이도 배운다. 이렇게 많이만 배우면 훌륭한 사람, 똑똑하고 지혜로운 사람이 되는가? 사람들을 책을 많이 읽어야 한다고들 한다. 옳은 말일까? 책사에 가보면 그 수많은 책들을 모조리 다 읽을 수는 없는 일이다. 지혜로운 사람은 그 많은 책들 중에서 자신이 꼭 필요한 책을 고를 줄 안다. 지식도 마찬가지다. 많이 아는 것이 아니라 ‘어떤 것을 아느냐’가 중요하다. 학교는 학생들의 소질과 적성, 특가를 파악해 적절한 진로지도를 함께 해야 한다, 무조건 국어, 영어, 수학 점수만 좋은 면 SKY를 보내 출세(?)하도록 하는 게 옳은 길인가?


유럽선진국에서는 국어, 영어, 수학에 못지않게 중시하는 게 철학공부다. 그런데 우리나라는 학생들에게 철학을 가르쳐 주지 않는다. 배운 지식을 어떻게 활용할 것인지를 가르쳐주지 않고 암기만 많이 시키는 교육... 국가가 교육과정을 만들 때 국가가 필요해 기르겠다는 인간상을 양성하는 게 교육의 목표다. 신자유주의 시대의 교육은 수요자 중심의 교육이다. 그러면서 선택권이 없는 수요자중심의 교육이라는 게 말이 되는가? 그것도 국영수 교과서 많이 암기한 학생이 똑똑한 사람으로 인정받고 출세하고 대접받도록 만들어 놓은 교육과정은 정당한 일인가?


교과서가 우열을 가릴 수 있는가? 국어, 영어, 수학은 주요과목이요, 그 밖의 다른 교과목은 기타 과목일까? 수학능력고사에서 배점이 높은 국영수가 앞으로 인생을 살아가는데도 더 중요할까? 정말 국영수만 잘하면 훌륭한 사람이 되는가? 사람이 살아가는데 정말 필요한 것은 도구교과인 국영수뿐이겠는가? 교육과정에 명시하고 있는 어느 과목이 더 중요하고 덜 중요할 수 있겠는가? 이 과목 중 국영수만 더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가? 민주시민으로 살아가기 위해 사회나 역사, 법과 도덕...도 필요하고 자연 속에 법칙성을 알아야 변화에 적응하기 위해서는 자연의 번칙을 배워야 한다. 사회는 알고 자연을 모른다든지 자연만 알고 사회를 모른다는 것이 어떻게 민주시민으로서 건강한 삶을 살아갈 수 있겠는가?

 

 

 

-----------------------------------------------------------------------------------------

 

 

2014년 4월 16일...

오늘도 세월호 참사로 희생된 학생들을 생각하며 하루를 시작합니다. 

가족들의 아픔에 함께 합니다. 잊지 않겠습니다.  

 

  

 



 

교보문고 
http://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8994502151&orderClick=LEA&Kc=

예스24 
http://www.yes24.com/24/Goods/9265789?Acode=101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E899450215

북큐브 
http://www.bookcube.com/detail.asp?book_num=13090003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