반응형 자살공화국3 '시험공화국' 야만적인 경쟁교육 언제 그치나 청소년 사망원인 1위 '자살'2025 수능응시생 31%가 'N수생' 21년 만에 최다‘수험생’, ‘재수생’, ‘반수생’, ‘N수생’.... 수험생 재수생도 모자라 대학을 중도 탈락한 학생이 치르는 ‘반수생’, 반수생도 모자라 원하는 점수를 받을 때까지 수없이 계속 치르는 시험이 N수생이다. N수생이란 자연수 'N'(Number)과 재수생의 합성어로 '(동일 시험에) N번 응시했다'라는 뜻으로 고등학교 3학년 '현역'이 아닌 상태에서 수능을 다시 치르는 시험을 의미한다.■ ‘자살공화국’도 모자라 ‘시험 공화국’인구 10만 명당 10.8명꼴로 청소년이 자살하는 나라, 청소년 사망원인 1위는 자살, 2025학년도 수능에는 전년도보다 1만882명 많은 52만2670명이 응시했다. 이중 31.0%인 16만1784.. 2024. 11. 20. ‘공립 대안학교’, 무너진 교육 살릴 수 있을까? 우리나라 최초의 기숙형 공립대안학교인 태봉고등학교 개교 4주면 기념, ‘담쟁이 토론회에 다녀왔습니다. 오늘은 제가 토론회에서 발제한 ’공립대안학교에서 대안교육의 현재와 미래‘라는 주제로 발제한 내용을 요약해서 올리겠습니다. 일시 : 2013. 6. 14(금) 18:00~21:00 장소 태봉고등학교 3층 도서관 인사말 : 여태전 - 태봉고등학교교장 주제발표 : 공립대안학교에서 대안교육의 현재와 미래-김용택(전)태봉고등학교 설립 TF팀장 토론 1, : 태봉고등학교 성공과 확산 전망-김성열-경남대 부총장/교육학과 교수 토론 2 : 공립대안학교에 대한 기대와 조건-이종대-한울고등학교장 토론 3 : 공립대안학교, 학업중단학생 예방에 앞장서야-김선동-경남교육청 학교안전과장 대안학교가 대세다. 사립은 물론 공립학교까.. 2013. 6. 21. 내용보다 형식, 과정보다 결과를 중시하는 사회 “이번 시험 잘 치려고 엄청 노력했지만 뜻대로 안 됐다. 성적 때문에 비인간적인 대접을 받는 이 세상을 떠나기로 결심했다” 지난 해 10월, 평소에 핸드폰을 갖고 싶어 하던 중학생이 ‘성적이 오르면 사주겠다’는 부모의 약속에 나름대로 최선을 다했지만 원하던 결과를 얻지 못하자 자기가 살고 있던 아파트 20층에서 몸을 던졌다는 안타까운 얘기다. 이 학생이 자살을 하기 전날 성적이 나빠 부모로부터 심한 꾸중을 들었다고 한다. 세상에서 목숨보다 소중한 게 있을까? “학교를 왜 다녀야 하는가? 공부는 왜 하지?” 학생들에게 라고 물어보면 한결같은 대답이 “훌륭한 사람이 되기 위해서...”라고 한다. “어떤 사람이 훌륭한가?”라고 물어보면 의사, 변호사, 국회의원 판사, 검사... 이런 사람들이란다. 사회적 지위.. 2012. 4. 26. 이전 1 다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