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언론만 달라져도 교육이 바뀔 수 있는데…

by 참교육 2012. 7. 12.
반응형

 

                         <사진설명 : 경남도민일보 지면평가위원회 회의 모습>

 

신문의 교육관련 기사를 보면 짜증이 날 때가 있다. 원인을 두고 현상을 탓하는 학교폭력이나 청소년 자살 기사를 보면 그렇다. 학생들이 왜 스스로 죽음을 택하는지 그렇게 잔인해지는지에 대한 원인을 덮어두고 가해 학생들에게 몰매를 가하는 언론을 보면 한심하다 못해 분노가 치민다. 가해자에게 책임이 없다는 말이 아니다. 아이들에게 막다른 골목으로 내모는 경쟁교육이며 그토록 잔인해지도록 방치한 가정과 사회와 상업주의문화는 책임으로부터 자유로울까?

 

방송사에는 의학전문기자라는 게 있다. 방송국에서 채용하는 의학전문기자는 의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뽑는다. 왜 의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을 기자로 채용할까? 의학이라는 전문분야는 다른 분야를 전공한 기자가 감당할 수 없는 전문적인 지식과 식견이 필요하기 때문이 아닐까?

 

그런데 교육전문 기자는 왜 없을까? 교직을 전문직이라고 한다.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에서 교육학, 교육사, 교육철학, 교육심리학... 등을 4년간 교직고목을 전공한 사람이 교원 자격증을 받는다. 그런데 언론의 기자는 교육대학이나 사범대학을 나온 교사자격증을 가진 사람이 아닌 채용시험에 합격한 사람이 교육담당기자가 된다.

 

기자의 자질을 시비하자는 게 아니다. 그런식으로 말하면 기자가 다 전문가를 채용해야하지 않겠느냐고 항변할지 모른다. 그러나 언론사의 기자는 전문가에 못지않은 안목과 식견을 갖추지 않으면 독자들의 공감을 받을 수 있다. 학교폭력문제에 대한 기사가 원인분석을 못하고 현상이나 사실보도로 일관하고 있어 하는 말이다.

 

                                              <이미지 출처 : 전교조 홈페이지에서..>

 

똑같은 폭력문제를 기사화하더라도 폭력의 심각성을 부각시킬 수도 있고 폭력이 나타나게 된 원인을 분석해 쓸 수도 있다. 폭력문제 기사를 보면 언론이 문제의 해법이 아닌 폭력 그 자체가 문제인 것처럼 호도하고 있다는 느낌을 지울 수 없다. 교육개혁에 대한 확고한 철학을 가진 신문이라면... 문제를 보는 안목이 있는 기자라면 근본적인 대안의 제시로 해법의 실마리를 찾아낼 수도 있지 않을까?

 

학교폭력에 대한 냄비근성보도를 보면 교사에게 책임을 떠넘기거나 혹은 무너진 도덕과 폭력의 잔인성에 초점을 맞춘다. 독자들도 이제는 이런 일회성 기사에 익숙해 한바탕 가해자에게 욕을 퍼붓고 나면 그게 끝이다. 시간이 지나면 언제 그런 일이 있었느냐는 듯 다음 폭력사건이 터질 때까지 잠잠해 진다.

 

‘어떤 외압과 회유에도 흔들리지 않겠습니다. 힘센자에게 강하고 약한자에게 따뜻한 신문이 되겠습니다. 대안까지 제시하는 책임있는 언론이 되겠습니다. 지역시민·사회운동과 언론개혁의 센터가 되겠습니다. 교육개혁에 앞장서겠습니다....’

 

경남도민일보가 창간하면서 독자들에게 한 21가지 약속 중 일부다. 완벽한 신문, 모든 독자가 만족할 수 있는 신문이란 가능할까? 이해관계나 가치관이 상반된 사람들로 구성된 사회에서는 모든 독자가 만족하는 신문은 어쩌면 불가능에 가까운 일인지도 모른다.

 

그러나 독자의 편에서 그들의 애환을 듣고 소통하려는 의지만 있다면 전혀 불가능한 일만은 아니다. 비판과 견제의 기능, 정의사회를 구현하기 위해 약자의 힘이 되는 신문, 대안까지 제시하는 책임 있는 언론은 언론사의 철학이 없이는 불가능하다. 열악한 환경조건에서도 창간의 정신, 초심을 잃지 않고 개혁언론으로 거듭나겠다는 경남도민일보의 독자들에 대한 약속이 모든 언론의 약속이 될 수는 없을까?

 

-  이기사는 약자의 힘 '경남도민일보'에서도 볼 수 있습니다.

    http://www.idomin.com/news/articleView.html?idxno=384881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