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학생관련자료/학생인권

청소년 유해매체, 유해약물 이용, 이대로 좋은가?

by 참교육 2013. 5. 27.
반응형

 

 

청소년들의 교육환경이 날로 악화되고 있다. 여성가족부가 발표한 ‘청소년의 유해 매체물 이용실태’를 살펴보면, 전년과 비교하면, 핸드폰 성인매체 4.8%p, 핸드폰 성인매체  2.8%p 접촉이 증가했는데, 특히 핸드폰 성인매체 이용은 전년대비 64%나 증가해 충격을 주고 있다.

 

                 < 청소년 유해매체물 이용 경험률 증감 추세 : 2010년, 2011년 >

사례수(명)

성인용 간행물

성인용 영상물

온라인 음란물

19세 이상 지상파 프로그램

19세 이상 케이블 프로그램

핸드폰 성인 매체

폰팅·성매매 유도형 전화번호

온라인 사행성 게임

청소년 이용불가 게임

‘10년

16,572

38.3

27.8

38.3

29.4

14.8

7.5

1.4

46.1

49.5

‘11년

15,954

41.1

32.0

37.3

25.3

14.8

12.3

1.5

41.2

47.4

 

청소년의 절반 정도(47.4%)가 ‘청소년이용불가게임’을 이용한 경험이 있고, 4명중 한명(25.3%)은 ‘19세 이상 지상파 프로그램’을 본 적이 있는 것으로 조사되었다.

이용 실태는 성별에 따라 차이가 있는데, 남학생은 청소년 이용불가게임(67.3%), 온라인 음란물(54.5%), 성인용 간행물(50.6%) 순이고, 여학생은 온라인사행성게임(36.3%), 성인용 간행물(29.2%) 순으로 나타났다.

 

컴퓨터 몰입도 문제다. 청소년들의 컴퓨터 게임 평균 이용시간은 1시간, 컴퓨터 게임 후 시력약화나 수면부족 등 건강이 나빠졌다는 응답이 18.4%, 게임에서 지면 상대방을 때리고 싶은 폭력적 충동을 느꼈다는 응답자가 7.1%로 조사되었다.

 

 

이를 절재하고 조율할 안전장치 또한 심각한 주준이다. 집 컴퓨터에 유해차단프로그램이 ‘설치되어 있지 않다’고 응답한 청소년은 59.9%로 나타났으며, 설치되어 있는 학생은 35.5%에 불과하다.

 

청소년의 유해 약물 이용도 심각한 수준이다. 편의점, 수퍼마켓에서 술을 구매할 때 ‘19세 미만 판매하지 않음’이라는 응답이 42.3%로 10년 대비 11.9%p 증가했다. 청소년 유해 업소 이용 실태를 살펴보면, 카페 이용은 2년 연속 증가한 반면, 만화방, 전자오락실, 비디오방/DVD방 등의 이용률은 2년 연속 감소한 것으로 조사됐다.

 

                                                    < 컴퓨터 게임 후 경험 사례 >

2011년

사례수(명)

밖에 나가노는 시간 감소

부모에게

혼남

학업 지장

받음

건강 악화

(시력, 수면부족)

게임과 현실 혼동

게임에서 지면 폭력적인 충동

전체

13,575

17.8

22.2

7.9

18.4

2.4

7.1

남학생

6,703

24.8

30.2

11.2

21.7

3.2

9.9

여학생

6,872

9.8

13.1

4.2

14.6

1.5

3.9

 

청소년 업소 이용도 ‘노래방’ 84.2%, ‘PC방’ 83.8%, ‘전자오락실’ 47.4%, ’카페‘ 44.4% 등의 순이었다. 카페‘(‘10년 40.0% → ’11년 44.4%) 이용률 증가한 반면 ‘만화방’(‘10년 32.1% → ’11년 29.2%), ‘전자오락실’(‘10년 51.6% → ’11년 47.4%), ’비디오방‘(‘10년 13.5% → ’11년 11.6%) 이용률은 감소한 것으로 나타났다.

 

청소년 이용업소 최초 이용연령을 살펴보면, ‘PC방’(11.3세), ‘노래방’ (11.5세), ‘전자오락실’(11.7세) 등으로 낮았으며, 반면 ‘호프집․소주방’(14.4세), ’카페‘(14.2세)는 높게 나타났다.

학교폭력을 비롯한 청소년 탈선은 더 이상 방치해서는 안 된다.

 

 

맞벌이 가정에서 아이들은 어린이 집이나 유치원에서 자란다. 가정교육은 물론이요, 학교에서 인성교육까지 실종된 청소년들은 학교 밖을 나오면 갈곳이 없다. 계획적이고 의도적인 사회교육은 상상도 할 수 없다. 2011년 한국방정환재단· 연세대학교 사회발전 연구소가 조사, 발표한 한국 어린이·청소년 행복지수 조사 결과를 보면 OECD 어린이·청소년 비교, 한국학생 물질적 행복지수는 상위지만, 주관적 행복지수 꼴찌다.

 

청소년 사망원인 중 자살이 1위로 2001년 인구 10만명당 7.7명이었던 자살자가 2011년에는 13명으로 두 배로 급증해 대한민국의 학생들이 세계에서 가장 불행한 학생으로 평가 되고 있는 게 오늘날의 현실이다. 지난 해 6월 말 기준 우리나라 만 19세 미만 청소년 스마트폰 가입자 수는 1,683천명이다.

 

안전장치가 전무하다시피 한 인터넷문화. 뒤늦게 사안의 심각성을 알게 된 정부는 스마트폰 등 정보통신기기에 대한 ‘청소년유해정보차단·신고프로그램 개발·보급’하는 내용을 포함한 입법안 국회 제출해놓고 있는 상태다. (사)한국무선인터넷산업협회와 이동통신 3사도 공동으로 유해정보차단프로그램 설치 활성화 추진(‘m보안관’ 프로그램)하고 향후 청소년 명의의 스마트폰 유해 정보차단프로그램 설치 의무화 검토하고 있다.

 

청소년이 병들면 나라의 미래는 없다. 인터넷이용이 선진국가라는 허망한 꿈은 이제 접어야 한다. 현실이 이러함에도 학교에서는 전자교과서를 비롯한 전자기기 보급이 스마트 교육이라며 경쟁적으로 도입하고 있다. 이제 유해환경으로부터 청소년들을 지키는 일은 너와 내가 따로 없다. 부모를 비롯한 청소년단체 그리고 정부가 앞장서 청소년들을 유해매체, 유해약물 이용에서 지켜내야 한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