며칠 후면 새학기가 시작됩니다. 지금 학교에서는 인사이동으로 분위기가 뒤숭숭합니다. 다른 학교로 떠나는 사람, 다른 학교에서 발령이 난 사람.... 누가 어떤 학년을 맡을 지 어떤 업무분장을 담당하게 될 지... 물론 사립학교는 예외겠습니다만 공립에서는 2월 중순부터 새학기가 시작될 때까지 이런 분위기가 계속됩니다.
사람들은 말합니다. ‘어떤 선생님을 만나느냐에 따라 아이의 운명이 달라진다’고요. 선생님들의 성향이 너무나 각양각색이어서 처음 초등학교 입학이라도 하는 아이들의 부모님들은 예사로 신경이 쓰이는 게 아닙니다.
학부모에 따라 선호하는 선생님도 다양합니다. 그러나 자기가 원한다고 원하는 선생님을 만날 수 있는 게 아닙니다. 운명적으로 만나게 될 내 아이 선생님은 어떤 선생님이 좋을까요? 학부모들에 따라 남자선생님을 좋아하는 학부모도 있고 여자선생님을 좋아하는 학부모도 있습니다.
키가 큰 선생님, 키가 작은 선생님, 뚱뚱한 선생님, 날씬한 선생님, 젊은 선생님, 나이가 많은 선생님... 성격이 자상한 선생님, 무뚝뚝한 선생님.. 이런 선생님 중 우리 아이는 어떤 선생님이었으면 좋아할까요? 아이도 아이지만 학부모들이 더 설레고 기대가 큽니다.
젊은 선생님, 자상하고 학생들의 눈높이에서 차별 없이 아이들을 대하고 인정이 많은 선생님이 우리 아이 담임이 됐으면 얼마나 좋을까? 그러나 원하는 선생님을 만나지 못했다고 바꿔 달랠 수도, 불평을 할 수도 없는 게 현실입니다.
교육이 상품이라는 데, 교육소비자들에게는 왜 선택권이 없을까라고 불평을 해도 소용이 없습니다. 운명처럼 만나는 선생님, 혹시 마음에 맞지 않으면 ‘올해는 참고 견디자, 내년에는 좋은 선생님을 만나겠지.....’ 이렇게 운명 탓으로 한해를 보내야 할까요?
흔히들 학부모들은 말합니다. 담임선생님을 찾아가기가 부담스럽다고... 혹은 빈손으로 찾아가기가 부담스럽다고... 왜 그런 생각을 할까요? 분명한 사실은 당당하게 아이의 교육에 대한 의논하고 대화로 함께 아이를 교육하는 조력자로서의 관계를 맺어야 합니다.
사랑하는 내 자식을 담임에게 맡겨놓으면 잘 해주시겠지...? 그렇게 생각하는 사람이 있습니다. 그러나 40명이 넘는 아이들, 아이들마다 개성이며 특기며 소질이며 취미며 건강상태도 제 각각인데 그런걸 혼자서 파악하기가 얼마나 많은 시간과 노력이 필요할까요?
담임 혼자서도 한 학기정도를 지내면 아이들의 대부분을 파악이냐 하겠지만 처음부터 학부모와 담임이 소통하고 협력한다면 훨씬 빠른 시일 안에 보다 잘 적응하고 능력을 발휘할 수 있게 도와 줄 수 있는 것입니다. 위선도 가식도 필요하지 않습니다. 내 아이의 모든 것을 더도 말고 덜도 말고 감출 것도 없이 가장 상세하게 아이의 정보를 알려주도 믿을 수 있는 관계여야 합니다.
.
첫째, 담임선생님은 가능한 한 빠른 시일 안에 면담하는 게 좋습니다. 당당하게 요구할 것은 요구하고 필요한 정보는 숨김없이 나눠 가져야 합니다. 면담 전에 내 아이의 특성이나 소질이나 건강문제 등 담임이 유의해야할 사항, 지도하는 데 필요한 모든 정보를 구체적으로 담임에게 알려줘야 합니다.
둘째, 가능한 한 담임과는 자주 만나야 합니다. 시간의 여유가 없거나 담임을 만나는 게 부담스럽다고 느낀다면 E-mail로 서로 연락을 주고받을 수 있도록 여건을 만들어 두는 게 좋습니다.
셋째, 지나치게 점수에 연연해서는 안 됩니다. 초등학생일수록 학부모들의 교육열이 지나쳐 점수를 성적이라고 착각해서는 안 됩니다. 점수보다 정말 신경써야할 부분은 아이들이 친구들과 잘 어울리는 지, 사회성이 원만한지, 지나치게 주관적이고 이기적으로 생활하는 건 아닌지... 원만한 성격으로 인간관계를 맺고 있는지의 여부에 신경을 써야 합니다.
넷째, 지나친 과외 때문에 아이들이 부담을 갖지 않도록 해야 합니다. 이웃집 000는 영어학원에도 다니고 개인 교습을 받는다는데... 이렇게 아이들에게 부담스럽게 하는 것은 아이들이 공부에 취미를 잃고 공부에 싫증을 내게 할 수도 있습니다. 오히려 적당한 독서와 건강을 위한 배려를 잊지 않도록 관심을 가져야 합니다.
다섯째, 기초생활습관에 관심을 갖고 지도해야 합니다. 하나 뿐이 아이, 자칫 ‘오냐오냐’ 하고 키우다 버릇없는 아이, 막무가내로 때 쓰고 안하무인격으로 성장할 수도 있습니다. 자신이 할 일과 해서는 안 되는 일을 구별해 잘못한 일에 대해서는 적당한 책임을 물어 바른 길로 갈 수 있도록 이끌어야 할 것입니다.
여섯째, 무엇보다 중한 것은 자신이 소중하다는 것, 내 부모, 내 이웃이 소중하다는 것을 깨우쳐줘야합니다. 한 아들, 딸로 자란 아이들은 부모에게 늘 칭찬과 인정만 받고 자라 ‘내게 좋은 것이 좋은 것’이라는 가치관으로 자라지 않도록 보살펴야 합니다.
팔이 안쪽으로 굽는다고 부모가 보기는 사랑의 눈으로, 주관적으로 아이들을 보기 쉽습니다. 담임선생님과 함께 아이를 위해 교육의 동지로서 서로 의논하고 대화로 만날 수 있다면 처음 기대했던 선생님이 아니더라도 아이에게 보람 있는 한 해를 보내게 할 수 있을 것입니다. 지나친 치맛바람도, 지나친 기대도 금물입니다. 내 아이가 남보다 다른 특별한 아이, 영재가 아니라 보통아이로 성장할 수 있도록 부모님과 담임이 배려하는 만큼 우리아이는 건강하게 자랄 수 있을 것입니다.
위의 이미지 출처 : 다음 검색에서 가져왔습니다.
'교사관련자료 > 학부모' 카테고리의 다른 글
자녀들이 놀면 불안한 어머니, 사랑일까, 욕심일까? (24) | 2012.04.02 |
---|---|
당신은 자녀의 진로를 어떻게 준비하세요? (12) | 2012.02.23 |
놀이를 모르고 자라는 아이들.... (19) | 2011.09.12 |
방관과 과욕을 사랑으로 착각하지 마세요 (21) | 2011.08.13 |
좋은 엄마, 나쁜 엄마 (41) | 2011.07.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