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성교육자료

가치혼란의 시대를 사는 지혜-2

by 참교육 2011. 3. 2.
반응형


사람이 살다보면 문방구에 가서 볼펜을 하나 선택하는 일에서부터 책을 사거나 학교를 선택하거나 직업이나 배우자의 선택에 이르기까지 선택하고 판단해야 할 일들이 많다. 어떤 일을 선택하거나 판단을 할 때는 평소 그 사람이 가지고 있는 가치관이라고 하는 판단의 기준이 필요하다. 

코끼리 구경을 다녀온 장님 중 코끼리 다리를 만져보고 온 장님은 '코끼리는 기둥 같이 생겼다'고 했고, 코끼리 코를 만져 본 사람은 '코끼리는 고무 호수 같이 생겼다'고 했으며, 등을 만져 보고 온 사람은 '코끼리는 벽 같이 생겼다'고 했다. 사물을 판단하는데도 부분을 보고 전체로 착각하면 사물의 참 모습을 이해하지 못하는 것이다.


위기철씨가 쓴 '논리야 놀자'라는 책에 대나무 광주리 장사 이야기가 나온다.

광주리를 팔러 갔다가 외상으로 주고는 외상장부에
'담벼락에 오줌자국이 있는 집에 큰 광주리 한개와 작은 광주리 3개', '대문 앞에 여자아이들이 고무줄 놀이하고 있는 집에 작은 광주리 2개', '지붕 위에 까치가 앉아 있는 집에 큰 광주리 2개와 작은 광주리 한개'라고 적어 두었다.

그 다음달 외상값을 받으러 갔다가 깜짝 놀랐다.

" 허, 이 사람들이 외상값을 갚기 싫어서 집을 통채로 옮겨버렸군. 어이, 고약한 사람들!"

분명히 외상을 주고 장부에 적을 땐 맞는 판단이었지만 한달 후에는 상황이 달라져 있었던 것이다. 상대적으로 옳은 판단과 절대적으로 옳은 판단을 혼돈한 결과이다.

감기가 걸린 모든 환자에게 똑 같은 약을 처방하는 의사는 유능한 의사가 아니다. 환자의 체질이나 건강상태를 고려하지 않으면 약효를 극대화 할 수 없는 것이다. 시험 결과가 나쁜 학생이 모두 벌을 받아야 하는 대상일 수는 없다. 시험 준비 기간에 몸이 아파서 시험공부를 못한 경우도 있고 가정 사정이나 개인이 처한 상황으로 시험을  그르치는 학생은 좋은 성적을 얻을 수 없을 때도 있다.

현상 (감기, 성적이 좋지 못한 것)을 보고 진단한 판단은 올바른 판단이 될 수가 없다. 유능한 의사는 병의 원인을 찾아 처방을 하여 환자를 치료할 것이고, 유능한 교사라면 학생의 성적이 부진한 원인을 찾아 지도를 할 것이다.


이와같이 본질은 덮어두고 현상을 보고 판단을 내리거나 원인을 무시하고 결과만 다루는 판단은 현명한 판단이 아니다.

자연 속에는 많은 비밀이 있다. '봄이 지나면 여름이 오고,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 식물은 탄소 동화 작용도 하고 이화 작용도 한다.' 이러한 숨겨진 자연의 비밀을 자연의 법칙이라고 한다.

사람들은  오랜 세월을 살아오면서 수많은 자연의 비밀을 찾아 생활에 활용함으로써 보다 풍요로운 삶을 살 수 있었다. 자연의 법칙을 모르고 살 때의 인간은 자연이 공포의 대상이었지만 자연 속에 숨겨진 질서나 법칙을 찾아냄으로써 그것을 생활에 이용할 수 있었던 것이다.

연에서와 마찬가지로 사람들이 모여서 사회를 이루고 살기 시작하면서 그 사회 속에서도 일정한 질서나 법칙이 생겨나게 되었다.

이러한 법칙을 생활에 잘 배우고 이용함으로써 인간의 생활은 훨씬 더 풍요로워 지는 것이다. 

 정치, 경제, 사회, 종교, 예술------ 등에도 우연이 아닌 필연이 적용되고 있다. 이러한 사회 속에 숨겨진 비밀을 우리는 사회과학이라고 한다.

사람들이 살아 가다가 불편하여 화폐를 만들고 통용함으로써 많은 불편이 해소된다.

물은 높은 곳에서 낮은 곳으로 흐른다. 흐르면서 증발하기도 하고 스며들기도 하듯, 사람들의 편의에 의해 만들어진 화폐도 '수요와 공급의 법칙', '가치의 법칙'과 같은 규칙이 생겨난 것이다. 돈을 모르는 사람 즉, 돈의 흐름을 모르는 사람은 결승점을 모르는 달리기 선수와 같이 돈을 모을 수 없다.

경제뿐이 아니다.

정치 사회에 있어서 자기의 논리를 가지고 있는 사람이 강자가 되고 보스를 중심으로 세가 형성되어 힘을 갖게 된다. 힘이 있는 사람이란 이런 과정을 거쳐 정치권력을 장악하거나 권력을 장악할 준비를 하는 야당이 되기도 한다.

종교가 이데올로기로 이용되고 예술이 계급성을 띄는 복잡한 현대 사회에서는 질서와 법칙을 외면하고 단편적인 지식을 암기만 한다고 해서 사회를 이해할 수가 없다.

텔레비전에서 자기가 좋아하는 탈렌트의 행위를 흉내내거나 상업주의의 선전에 빠져 메이커 제품만을 선호하는 것은 자기 중심이 없는 가치관 부재에서 오는 행위이다.

건강한 삶이란 자신이 처한 사회의 이해가 선결되어야 하고 올바른 가치 판단의 기준이 있을 때 가능한 얘기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