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인성교육자료/철학

범주(範疇)를 알면 세상이 보인다

by 참교육 2023. 9. 4.

관념론 철학은 ‘찬핵(鑽核)’이다

옛날 중국 진()나라에 왕융이라는 사람이 살고 있었다. 왕융의 집에는 맛있는 오얏이 열리는 오얏나무가 있어 이 열매를 팔아 돈을 벌었다. 그런데 이웃 사람들이 그 오얏씨를 가져다 심고 또 자라게 되면 자기의 오얏의 값이 떨어질테니 오얏의 모든 씨앗에 구멍을 뚫어 팔았다. 씨앗이 싹이 트지 못하게 하는 것을 찬핵(鑽核)이라고 한다. 찬핵(鑽核)의 자구를 풀어보면 뚫을 찬(), 씨 핵()자다. 그래서 찬핵(鑽核)이란 인색하다’, ‘구두쇠’, ‘()을 빼버린다라는 인색하고 옹졸한 사람을 칭하는 말이 되었다.

국어사전에도 헌법에도 없는 자유민주주의를 신봉하는 자들은 민중이 깨어나는 것을 가장 두려워했다. 유물론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투쟁을 위한 도구(오얏)이다. 자유민주주의자들은 프롤레타리아 계급의 이해를 반영하는 철학인 유물론(오얏 씨)으로 깨어나지 못하게 금기시 했다. 범주(範疇)는 세상을 이해하고 설명하기 위한 중요한 도구다. 범주(範疇)를 통해 복잡한 개념을 단순화하고, 유사성과 차이점을 구분하며, 새로운 지식을 습득할 수 있다.

<변증법적 유물론의 방법적 접근>

1. 원인과 결과

바람이 불지 않으면 파도가 일지 않으며 물이 있어야 배가 뜰 수 있다는 속담이 있다. 원인 없는 결과는 없다. 어떤 현상을 일으키는 현상이 원인이고 그 어떤 현상에 의하여 일어나는 현상이 결과이다. 원인과 결과 간의 연관에는 두 가지 뚜렷한 특징이 있다. 그 특징은 첫째, 양자는 일으키는 것과 일어나는 것 간의 관계이므로 원인이 언제나 앞에 나타나고 결과가 언제나 뒤에 나타나게 되며 원인과 결과는 선행과 후속 간의 관계이다. 종은 치지 않으면 울리지 않는다고 말할 때 치는 것은 울리는 원인으로서 언제나 친 다음에 울리는 법이지 울린 다음에 치는 법은 없다.

2. 본질과 현상

시장에서 딸기를 팔던 상점에서 딸기가 없어졌다는 것은 소멸된 것이 아니라 상인의 손에서 소비지의 손으로 이동한 것이다. 현상적인 시야에서 벗어났기 때문에 보이지 않는 현상을 소멸로 보는 것은 객관적인 인식이라고 할 수 없다. 쓰레기를 태워버리면 깨끗하다고 생각하는 사람은 쓰레기란 태움으로서 없어지는 것이 아니라는 본질을 모르기 때문이다. 쓰레기는 소멸되는 것이 아니라 유기물인 쓰레기에서 탄소와 질소와...같은 무기물로 전화되었을 뿐이다. 인상(현상)이 좋기 때문에 결혼을 했다가 알고 보니 남존여비의 봉건적인 사고의 사람이라 이혼을 하는 예도 현상과 본질을 구별하지 못해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이해할 수 있다.

3. 내용과 형식

사물을 구성하는 내적 요소, 그것들의 모순과 통일 그리고 그것에 의하여 규정된 사물의 특성, 운동과정을 우리는 내용이라고 한다. 예컨대 문학작품은 구체적이고도 생동한 예술적 형상을 부각하는 것에 의하여 현실 생활과 그 현실 생활이 구현하는 사상 감정을 재현하여야 한다. 여기에는 소재, 주제, 인물, 사건 등 요소들이 포함된다. 이것은 작품의 내용이다. 내용의 제 요소는 되는 대로 난잡하게 집적되는 것이 아니라 일정한 방식으로 결합되어 하나의 유기적 전일체를 이룬다. 내용의 제 요소를 통일한 이런 구성 또는 내용의 외적 표현방식을 우리는 형식이라고 한다. 작품의 내용은 언제나 일정한 쟝르, 구성, 스틸 및 언어 등 예술적 형식에 의하여 표현된다. 내용과 형식의 관계도 역시 대립물의 통일로서 불가분하게 연결되어 있다. 내용 없는 형식이란 없으며 형식 없는 내용도 없다.

4, 필연성과 우연성

필연성이란 무엇이며 우연성이란 무엇인가? 먼저 알기 쉬운 두가지 예를 들어 이야기하여 보자. 알다시피 사람은 반드시 죽기 마련이다. 이것은 필연성이다. 어떤 사람을 막론하고 여러가지 조건을 창조하여 수명을 연장할 수는 있지만 늙지 않고 죽지 않을 수는 없다. 봉건군주 진시황은 죽지 않고 영원히 살려고 사람들을 사처에 보내 영약을 구해오게 하였지만 결국 49살밖에 살지 못하고 죽었다. 생명의 근본모순은 신진대사이다. 이 근본모순은 사람의 출생, 발육, 성숙, 노쇠, 사망의 자연과정을 규정한다. 어떤 사람은 70살이 넘어서 죽고 어떤 사람은 성년으로 되기 전에 갑자기 죽기도 하고 어떤 사람은 질병으로 죽고 어떤 사람은 전쟁터에서 전사하며 어떤 사람은 차에 치어 죽고 어떤 사람은 바다에 빠져 죽는다.

사람의 죽음에 대하여 말하면 이 모든 정형은 어느 것이나 다 필연적이며 불가피한 것이 아니라 우연적 요소에 의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필연성이란 사물의 발전과정에서 불가피하게, 필연적으로 나타나게 되는 추세이며 우연성이란 사물의 발전과정에서 나타날 수도 있고 나타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이런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고 저런 형태로 나타날 수도 있는 현상이라는 것을 알 수 있다. 이 양자는 그 발생 원인이 각이(各異)하다. 전자는 사물의 내적인 본질적 원인, 즉 근본모순에 의하여·규정되고 후자는 사물의 외적인 비본질적 원인, 즉 비근본 모순에 의하여 규정된다.

5. 가능성과 현실성

가능성과 현실성의 관계도 역시 대립과 통일의 관계이다. 가능성과 현실성은 근거와 조건, 원인과 결과, 필연성과 우연성 등 여러 면의 복잡한 연관을 포함하고 있다. 가능성과 현실성은 상호 대립되는 두 범주이다. 가능성이란 현실적 사물에 포함되어 있는, 사물 발전의 전도를 예시하는 여러 가지 추세이며 현실성이란 지금 존재하고 있는 객관적 실재이며 이미 실현된 가능성이다. 사물의 이러저러한 발전들은 최초에는 모두 가능성으로 나타나는데 가능성이 현실인 것은 아니다. 금은 가열하면 용해될 수 있지만 온도가 섭씨 1,064도에 달하기 전에는 액체로 용해되지 않는다.

천으로 의복을 만들 수는 있지만, 그것이 아직 의복은 아니다. 가능성이 다 틀림없이 현실로 변하는 것은 아니다. 왜냐하면 사물의 발전과정에는 언제나 상호대립되며 상호 부정하는 두 가지 가능성이 있기 때문이다. 성공의 가능성이 실현되면 그것은 실패의 가능성을 부정한 것으로 되며 이와 반대일 경우에도 역시 그렇다. 금은 용해될 수도 있고 용해되지 않을 수도 있으며 천은 의복으로 변할 수도 있고 의복으로 변하지 않을 수도 있다. 그러므로 가능성과 현실성은 같은 것이 아니라 서로 대립되는 두 측면인 것이다. 가능성과 현실성은 대립될 뿐만 아니라 통일되기도 한다. 가능성은 언제나 현실 자체 속에 포함되어 있다.

6) 감성적 인식과 이성적 인식

(1) 감성적 인식

감성적 인식이란 인간이 실천과정에서 객관적 사물이 나타내는 여러가지 신호를 감각기관이 직접 대뇌피질에 전달한데 의하여 객관적 사물엔 대한 구체적 영상을 형성하는 것이다. 감성적 인식의 기본형태로는 감각, 지각 및 표상이 있다. 감각이란 객관적 사물의 운동 또는 인체내부의 운동이 인간의 감각기관에 직접 작용하여 두뇌에서 생긴 이런 작용에 대한 반영이 인간으로 하여금 객관적 사물의 색깔, 소리, 온도, , 냄새 (==오감)등 개별적 속성을 감지하게 한다. 인체의 운동에 의하여 생긴 감각에는 운동감각, 더듬감각, 평형감각, 유기감각 등등이 있다. 이런 감각들은 사람으로 하여금 자신의 몸에서 일어나는 변화를 느끼게 하는데 배가 고프거나 부른 것을 느끼는 것 같은 것이 바로 이런 감각이다.

(2) 이성적 인식

이른바 이성적 인식이란 감성적 인식의 기초에서 이론적 사유에 의하여 객관적 사물의 본질과 일반적 특성을 반영하는 것이다. 그 기본형태로는 개념, 판단 및 추리가 있다. 개념은 사유의 기본형태의 하나이다. 인간이 사회적 실천에서 쌓은 많은 감성적 자료를 분석하고 종합하여 사물의 공통한 특성을 추상한 다음 그것을 일반적이고 본질적인 것으로 개괄하면 비약이 생겨 개념이 생기게 된다. 예를 들면 우물물, 강물, 호수, 빗물 등 사물에서 물이란 개념을 추상해내며 행성, 항성, 성운 등 사물에서 천체란 개념을 추상해낸 것과 같은 것이다.

감성적 인식이성적 인식은 같은 인식과정에서의 두 가지 상이한 수준의 인식형태이다. 그것들은 모두 실천에 토대하여 생산·반영되는 것이다. 그것들은 구별되면서도 분리될 수 없는 것이다. 감성적 인식은 이성적 인식에로 심화되어야 하며 이성적 인식은 감성적 인식에 의존하여야 한다. 감성적 인식으로부터 이성적 인식에 이르는 과정은 분석하고 종합하는 사유 활동과정이다. 감각, 지각, 표상은 개념과 마찬가지로 대뇌피질의 분석과 종합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이다. 감각을 놓고 말할 때 시각은 붉은 색, 누런 색, 흰 색, 검은 색을 직접 구별할 수 있으며 청각은 우뢰소리, 대포소리, 음악소리를 직접 구별할 수 있으며 후각은 여러 가지 냄새를 직접 구별할 수 있다. 구별하자면 분석도 하고 종합도 하여야 한다.

 

........................................................

 

손바닥헌법책 보급운동에 함께 합시다- '우리헌법읽기국민운동 회원가입...!'==>>동참하러 가기

손바닥헌법책은 한 권에 500원입니다. 한권도 배송해 줍니다. ===> 헌법책 주문하러 가기 

                                                       '생각비행' 출판사가 발간한 신간입니다

                                                                   '살림터' 출판사가 발행한 책입니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