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정치

나는 왜 블로거가 되려고 하는가?

by 참교육 2014. 5. 14.
반응형
이 글은 5월 14일과 5월 23일 두차례에 걸쳐 이어지는 강원도 화천 교육청 주관, 교육블로거 강의 원고입니다.  상, 하 두편으로 나뉘 올리겠습니다.

 

목적이 없는 삶은 방황하다 마친다. 블로거도 그렇다. 나는 왜 블로그를 운영하려고 하는가? 돈, 명예, 지위....?

시인들 중에는 주구장창 사랑타령만 하는 시인이 있는가 하면, 자기가 가는 집은 다 맛 집이라고 소개하는 맛집블로거도 있다. 기준도 원칙도 없는 사람들, 자기 기준에 맞는 안경으로 세상을 비추는 블로거는 독자들에게 사랑을 받기는커녕 웃음거리가 될 수도 있다. 교육블로거가 되겠다면 우선 교육의 본질이 무엇인지, 우리교육이 안고 있는 문제점이나 개선에 대한 대안을 알고 접근 하는 것이 독자들의 공감을 얻을 수 있을 것이다.

 

 

<교육이란 무엇인가?>

 

교육이란 사람을 사람답게 만드는 일이다. 세상을 살아가는데 필요한 지식과 기술 그리고 튼튼한 몸을 가꾸는데 필요한 것을 깨닫고 체화하는 과정이 교육이다. 그런 교육을 하는 곳이 가정이요, 학교요, 사회다. 사람들은 교육을 학교에서만 한다고 착각하지만 사실은 놀이를 통해 또래들과 배우고 학교는 가정에서는 살아가는데 필요한 기본적인 것을 배운다. 학교는 좀 더 의도적이고 체계적인 학습을 하고 사회 또한 그 역할을 감당하야 한다.

 

 

똑같은 교육을 하는데 덴마크의 경우 8학년까지는 시험도 등수도 없다. 입학 전에 영어학원이며 피아노학원이며 미술학원... 등 학원에 가지 않으면 놀 친구가 없는 나라와는 전혀 딴판이다. 담임선생님도 8년동안 거의 바뀌지 않는다.  공부를 잘하다고 칭찬하거나 공부를 못한다고 열등감을 느끼지 않는다. 그런 덴마크가 국제학력평가시험인 PISA에서 1등이란다. 왜 그럴까?

   

<우리는 왜 서열에 목매는가?>

 

교육은 상품이다!

교육이 물과공기처럼 누구나 함께 누릴 권리가 아니라 수요자와 공급자, 양질의 상품과 저질을 상품으로 등급을 매긴 상품이란다. 상품이란 경제력이 있는 사람이 보다 양질의 교육을 받고 경제력이 없는 사람은 저질 상품을 구매한다. 그런데 차분히 한 번 생각해 보자. 교육의 기회균등을 말하면서 교육이 상품이라니... 부모의 경제력으로 차등 교육을 받는다니.... 결과가 뻔한 경쟁을 공정 경쟁이라니.... 이런 교육이 만든 결과는 어떨까?

 

아이들은 놀이를 통한 교육, 즉 또래집단을 통해 배울 게 많다. 그런데 학원에 가지 않으면 놀 친구가 없는 현실을 얼떻게 해석해야 하는가?  

 

<놀이를 빼앗긴 아이들...>

 

많은 부모들은 아이들에게 무조건 많을 걸 가르쳐 주면 좋을 것이라고 착각한다. 많이 아는 사람이 훌륭한 사람일까? 물론 모르는 것보다는 낫겠지만 알고 실천 못하는 사람, 아는 것을 자신의 이익을 위해 써 먹는 고약한 사람들도 많다. 많이 아는 것도 중요하지만 ‘아는 것을 어떻게 실천하면서 사는가?, 누굴 위해 사용하는가?’의 여부에 따라 가치가 달라진다.

 

우리나라 아이들을 참 불쌍하다. ‘내가 누구를 위해 태어난다는’것’은 결코 행복할 일이 아니다. 아이들은 ‘부모의 대리만족이나 못다 이룬 꿈을 이루어 줄 존재’가 아니다. 그런데 우리 부모들은 그런 속내를 감추고 영어학원, 수학학원, 미술학원, 채권도 학원, 피아노 학원, 컴퓨터학원....으로 하루 5~6군데 학원으로 보내면서 ‘다 너를 위해서야!’ ‘참아야 해, 일등 해야 해! 열심히만 하면 너도 의사도 판검사도 대통령도 할 수 있어!’하면서 닥달을 한다.

 

<놀이가 왜 중요한가?>

 

학교에서 배울 게 있고 또래들에게 배울 게 따로 있다. 가정에서 배울 게 있고 사회에서 배울 게 있다. 그런데 어머니들은 또래들과 어울려 놀면 불안해한다. 누구누구는 영재학교에 다닌다는 데, 누구누구는 국제학교에 다닌다는데... 아무리 착각은 자유라지만 아이들은 개성이나 소질이라는 게 있다. 모든 아이를 일등으로 만들어 야속이 시원한 부모들...

 

아이들은 놀이를 통해 인간관계나 우정과 참을성을 배우고 용기와 인내심, 협동심, 자제력, 남을 배려하는 마음... 과 같은 소중한 것을 배운다. 이런 것을 학교에서 교과서를 통해 배울 수 있을까? 물론 관념적으로는 배우고 알 수도 잇다. 문제는 성품으로 체화할 수 있는가의 여부가 문제다.

 

<학교는 교육을 하고 있는가?>

 

‘학교가 무너졌다’ 학교에는 교육이 없다’는 말은 어제 오늘 나온 얘기가 아니다. 왜 학교가 무너졌다고들 할까? 학교폭력 때문에..? 왕따 때문에...? 아니다. 학교에는 지식교육만하고 상급학교 진학만 준비할 뿐 교육이 추구하는 본질적인 교육을 하지 않고 있는 것이다. 교육법이나 초중등교육법에는 엄연히 ‘전인교육, 지덕체를 겸비한 조화로운 인간 양성’ 운운하지만 따지고 보면 일류대학을 준비하는 학원이 된 지 오래다.

 

<교육을 보는 두가지 관점>

 

교육이 ‘상품인가? 공공재인가?’

이 물음에 대한 답이 교육의 방향과 질을 달리한다. 우리나라와 일본, 미국은 교육을 상품이라고 본다. 반면 독일을 비롯한 유럽 선진국들은 교육이란 물과 공기처럼 모든 국민이 함께 누려야할 공공재로 본다.

 

이러한 관점의 차이로 우리나라는 교육이 상품이 되고 경쟁과 효율, 일등지상주의, 일류고등학교, 일류대학을 위해 경쟁하는 게 당연하다. 수요자중심의 교육이라는 ‘7차교육과정’이 바로 그런 현실을 만들어 내고 있다. 경쟁교육이 사교육이나 선행학습이라는 모습으로 나타나 학교가 해야 할 본질적인 임무인 교육을 하지 못하고 지식주입교육, 보충수업, 야간자율학습, 국영수 중심교육...으로 나타나고 있는 것이다.

 

유럽선진국은 어떤가? 공공재니까 당연히 누구나 누릴 수 있는 권리가 있다. 공부를 하고 싶으면 국가가 모든 학생들에게 평등하게 교육을 시킬 책임을 진다. 유치원에서부터 대학까지 무상교육을 할뿐만 아니라 외국에서 공부하러 온 학생들까지 교육을 시킨 대가로 돈을 받지 않는다. 물론 일등이니 일류고등학교, 일류대학이 있을 리 없다. 경쟁이 없는 학교, 꼴찌도 행복한 교실이라는 말이 나오는 이유다.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