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종편시대, 실종된 언론소비자 주권은?

by 참교육 2011. 12. 19.
반응형

                               <이미지 출처 : 다음 이미지 검색에서>

언론계가 심상찮다. 종편방송이 시작되면서 종편이 광고를 독점해 지역 언론계가 살아남기 어렵다며 생존투쟁에 나서고 있다. 경남도민일보를 비롯한 한겨레신문, 경향신문 등이 백지광고를 내는가 하면 전국언론노동조합은 'MB정권 언론장악 심판·조선·중앙·동아일보 방송 특혜저지·미디어렙(방송광고팡매대행사)법 쟁취를 위한 총파업'을 하고 있다. 언론노조가 왜 저럴까? 파업을 하고 종편을 막아야 한다는 이유를 보니 조중동 종편의 횡포를 막아내지 못하면 IMF에 버금가는 국가위기가 올 것"이라며 "종편 사업권을 회수해, 언론생태계를 바로 세우자"고 한다.


옳은 얘기다. 수구세력의 대변자, 권력의 목소리만 내는 조중동의 소리만 있고 약자의 소리, 비판의 목소리가 없는 사회는 암흑의 세계다. 그런데 그런 소리를 하는 언론은 과연 지금까지 제 몫을 다해 왔을까? 언론이 제 몫을 다했다면 세상이 이지경이 됐을까? 헌법이 있고 도덕이며 윤리까지 시퍼렇게 살아 있는데 우리가 사는 사회는 법이 지배하는 사회, 이성이 지배하는 사회가 아니라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사회에 가깝다. 법이 무너진 사회, 양심이 병든 사회는 힘의 논리가 지배하는 약육강식의 사회다. 언론계가 발등의 불이 떨어져 살려달라고 아우성이지만 병든 사회를 만든 장본인은 언론도 일조를 한 게 아닌가?


사실보도에만 충실했다고 언론이 정론직필했다고 볼 수는 없다. 권력의 이름으로 폭력이 자행되는 현장을 혹은 침묵하고 혹은 타협하면서 약자의 눈을 감기고 귀를 막은 게 누군가? 경남도민일보나 한겨레신, 경향신문과 같은 일부신문을 제외하면 ‘약자의 편’에서 민중의 애환을... 그들의 목소리를 대변해 온 신문이나 방송이 있기나 한가? 아니 조중동처럼 강자의 편에서 침묵으로 폭력을 돕거나 적극적으로 가해자 노릇을 했던 언론의 폭력은 숨길 수 없는 사실이다.

종편이 시작되고 지역언론을 포함한 언론들이 살아남기 위한 몸부림이다. 아니 고사위기 내몰리고 있다는 표현이 더 정확할 것이다. 종편을 제외한 언론이 생존권 투쟁에 나설 수밖에 없는 이유가 뭘까? 경쟁이란 공정한 조건이나 룰이 없을 때는 패거리들의 막 싸움이 될 수밖에 없다. 이러한 조건을 제시해 언론이 제 몫을 할 수 있도록 해야 할 책무가 바로 정치요, 법이다. 그런데 정치인들이 특히 힘을 가진 정당이 일방의 편을 들거나 직무를 유기한다면 경기는 시작도 하기 전에 승패가 결정 날 수밖에 없다.


언론계의 공정한 경쟁을 통한 공생은 최소한의 질서를 위해 미디어 랩법이라는 장치가 있을 때 가능하다. 그런데 그런 미디어 랠 법안이 한나라당의 종편 편들기로 국회에서 잠을 자고 있다. 무법천지의 사회에서는 힘이 제배하는 사회로 바뀐다. 12월 1일 조중동매의 종편 방송이 시작되고 그 위세를 몰아 서서히 광고시장을 독점해 들어가고 있다. 메이저 언론이 그나마 약자의 목소리를 내는 언론의 입을 막으면 누가 피해자가 되는가? 지금까지 비록 약자의 편에서 가려운 곳을 제대로 긁어주지 못했던 언론이지만 그들의 목소리마저 잦아들면 독자나 시청자는 어떤 입장에 처하게 될까?

종편은 미디어계의 사생아다. 국회에서 날치기 통과로 탄생하지 말았어야할 사생아가 태어난 것이다. 출생의 한계를 지난 종편은 0.3~0.5%대의 시청률로 지상파의 70%에 해당하는 광고단가를 요구하며 광고시장을 독점해 가고 있다. 종편의 횡포는 벌써부터 대기업은 물론이고 제조업이나 서비스업, 금융권에 이르기까지 수많은 기업들에게 무리한 광고 요청에 진절머리를 내고 있다. 미디어랩법안이 국회에서 잠자고 있는 동안 조중동매는 신문지면을 무기로 광고업계를 독식하고 지역방송과 신문, 종교방송 등 상업성이 적은 체널들을 위기로 몰아넣고 있다. 종편의 횡포로 무너지는 약자의 소리를 언론 소비자들은 언제까지 강 건너 불구경하듯 보고만 있을 것인가?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