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정치

강자의 횡포에 시달리며 사는사람들...

by 참교육 2011. 9. 15.
반응형

                                                <이미지 출처 : 다음 이미지 검색에서>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줍니다’라는 L건설회사의 CF광고다. 이 광고가 얼마나 폭력적인가는 홍세화씨의 수요편지 ‘[편지1] 늠름한 민중’에 잘 나타나 있다. 그는 이 글에서 ‘기업하기 좋은 나라’처럼 납득하기 어려운 말도 있었지만 가장 충격적이었던 말은 “당신이 사는 곳이 당신이 누구인지 말해줍니다”라는 광고 문구와 가난한 아버지가 자식에게 내뱉은 “너는 나처럼 살면 안돼!”라는 말이었다고 한다.

자신의 이익을 위해서라면 무슨 짓이든지 할 수 있는 사회는 건강한 사회가 아니다. 언제부터 우리사회가 막가파식 강자의 횡포가 지배하게 됐는지 는 알 수 없지만 이러한 가난한 부모들의 가슴에 깊은 상처를 안겨 주고 있다. 언젠가 휴대전화통신업계 2위를 달리고 있던 K 통신사의 10대요금제 CF에 ‘열심히 공부하면 신랑 얼굴이 바뀐다’가 그랬다. K 통신사의 10대요금제 CF는 한 여학생이 자습시간에 졸다가 못생긴 남학생과 결혼하는 꿈을 꾸다가 "안돼!"라고 외치며 일어나 "열심히 공부하면 신랑 얼굴이 바뀐다."라는 급훈을 바라본다는 내용이다.


학급에 게시되는 급훈이 엽기적이라는 것은 어제오늘의 얘기가 아니다. 교사의 학급 경영관인 급훈에 ‘열심히 공부하면 신랑 얼굴이 바뀐다’는 급훈이 있는가 하면 ‘공장가서 미싱할래 대학가서 미팅할래’ 이런 엽기적인 급훈도 있었다. 그런가 하면 '센팅이 답니다'라는 폭력을 미화하는 급훈도 있고 ‘2호선을 타자‘, ‘THIS가 한 갑이면 공책이 두 권이다’ 등 웃지 못할 급훈도 있다. 그 밖에도 노동을 비하하거나 가난한 사람을 우습게 알게 하는 내용의 급훈도 많다. 학교폭력이 사회문제가 되면서 폭력을 추방해야한다는 공감대가 만들어 지고 있지만 언어폭력에 대해서는 아직도 우리사회는 사각지대다.

인간은 사회적인 존재다. 더불어 살아가는 사회를 위해서는 자신의 이익만 추구해서는 안 된다. 그러나 현실은 이러한 상식조차도 자본의 논리에 가려져 약자에게 상처를 주는 말이나 주장이 정당화되기도 한다. 이제 국민소득이 높아지고(배분의 문제는 삼각하지만...) 절대빈곤 문제도 과거보다 많이 해결됐다. 그러나 삶의 질을 말하면서 가진 자의 행복만이 선이 되는 사회는 정상적인 사회가 아니다. 약자를 배려하지 못하고 권력이나 돈이나 힘으로 약자에게 고통을 주는 사회를 어떻게 건강한 사회라 할 수 있겠는가?


삶의 질을 말한다. 웰빙이 어떻고 유기농이 어떻고 하며 자신의 건강을 위해서는 돈도 아끼지 않는다. 건강하고 오래 살고 싶은 것은 인간의 공통된 본능이다. 그러나 남이야 어떻게 됐던 나만 좋으면 되고 나에게 이익이 되는 거라면 무슨 짓이라도 할 수 있다는 가치는 우리사회를 병들게 한다. ‘기업하기 좋은 나라!’ 언듯 보면 별 문제가 없는 말 같지만 ‘기업하기 좋기 위해서는 노동자가 살기 어려운 사회'다. 국익이란 좋은 것이고 국민소득을 높이자는데 누가 그걸 반대할 것인가? 노동하기 좋은 나라란 자본가의 이익을 위해서는 ‘노동자의 일방적인 희생을 강요’하는 뜻이 담겨 있지 않을까? 자본의 이익을 극대화하기 위해서는 노동유연화가 일상화되고 저임금에 근로조건까지 악화돼도 좋다는 의미라면 이런 사회를 건강한 사회라 할 수 없다.

요즈음 코미디를 보면 생김새를 주제로 웃음을 강요하는 내용을 심심찮게 볼 수 있다. 누가 못생긴 게 좋아서 못생긴 사람이 있겠는가? 외모지상주의로 못생긴 사람을 웃음거리로 만들거나 가난한 사람을 조소(嘲笑)의 대상으로 생각하는 사회는 숨이 막히는 막가파 사회다. 장애인을, 여성을, 그리고 가난한 사람과 못생긴 사람을 대상화해 웃음거리를 만드는 막가파식 풍토에 어떻게 더불어 살아가는 건강한 사회가 될 수 없다. 강자들을 위해 약자의 끝없는 희생을 강요당하거나 약자라는 이유로 웃음거리가 되는 사회가 아닌 건강한 사회를 만들 수는 없을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