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문을 읽어야 합니다. 그래야 취직도 되고, 부자도 돼요. 세상의 모든 진리가 신문에 있으니까요.”
김형태교수가 한남대 총장으로 재직하고 있을 때 얘기다. 그는 ‘신문읽기’ 강좌를 신설하고 교내에 신문카페까지 만들어 운영했다. 그는 “이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은 많이 읽고, 많이 쓰고, 많이 생각하는 사람”이라며 “돈 덜 들이고 좋은 글을 많이 읽을 수 있는 유일한 방법은 신문을 읽는 것”이라며 신문 예찬론을 펼치기도 했다.
정말 그럴까? 조중동이나 종편도 공정한 보도를 하고 있을까? 조중동 같은 신문을 읽어도 세상에서 가장 강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기레기'라는 말이 유행어가 됐다. 기레기란 ‘기자 + 쓰레기’의 합성어로서 수준 낮은 기자들과 공익성에 부합하지 않는 가짜뉴스, 비방글을 쓰면서 돈을 버는 기자들의 행태를 비꼬는 말이다. 피해자가 머릿속에 가해자의 의식을 갖게 하는 신문... 그런 신문을 읽으면 정말 똑똑한 사람이 될 수 있을까?
혼돈(混沌)의 시대다. 언론에서 보도되고 있는 사건이며 논쟁을 보고 있노라면 마치 미로찾기 같다. 누구의 주장이 옳은지, 누가 맞는지 누가 틀린 주장을 하는지 찾기가 쉽지 않다. 이해관계가 엇갈리고 판단의 기준이 다를 뿐만 아니라 이데올로기(Ideologie) 문제까지 뒤섞여 있으니 그럴 수밖에 없다. 순진한 사람들은 신문이나 방송의 기사는 아직도 진실만을 보도한다고 믿는 사람들이 있다. 정말 언론에 보도한 기사는 모두 사실이며 신문을 읽으면 세상 돌아가는 이치를 깨달을 수 있을까?
‘조선일보를 보면 조선일보 시각, 경향신문을 보면 경향신문의 시각으로 세상을 본다’는 말이 있다. 기준과 원칙이 없으면 조선일보라는 안경, 경향신문이라는 안경으로 세상이 보인다는 뜻이다. 사실 기사야 6하원칙에 따라 쓰니까 가짜신문이 아니라면 거짓 기사를 쓸 수 없다. 그러나 가치문제를 다루는 오피니언 기사는 이데올로기나 이해관계가 걸려 있어 신문사의 시각에 따라 다른 기사를 쓴다. 보수적인 안경을 쓰고 보느냐, 진보적인 안경으로 세상을 보느냐에 따라 혹은 자사(自社의) 이해관계가 걸린 기사, 그리고 광고주의 눈치를 봐야 하는 기사는 객관적인 기사를 쓸 수 없다.
사람들이 마시는 물은 다 깨끗한 물이 아니다. 사람의 눈으로는 물이 얼마나 오염되어 있는지 분별할 수 없다. 그러나 오염된 물을 마시면 건강을 해칠 수도 있고 생명을 잃을 수도 있다. 오염된 물에는 세균은 물론 대장균, 납, 불소, 비소, 시안, 수은, 카드뮴, 페놀, 벤젠, 톨루엔과 같은 불순물이 포함되어 있거나 농약이나 화학물질까지 포함되어 있다. 갈수록 오염되고 있는 물... 현대인들은 깨끗한 물을 마시기 쉽지 않다, 그래서 상인들은 바닷속 암반을 뚫고 지하수를 뽑아 올려 판매하는 회사까지 만들어 운영하고 있다.
농업사회는 단순한 사회여서 현상이 대부분 본질과 같다. 그러나 농업사회가 산업사회로 바뀌면서 겉과 속 즉 현상과 본질이 다른 모습으로 보인다. 전자제품의 뚜껑을 열어보면 전문가가 아니면 어떤 부품이 무슨 역할을 하는지 알 수 있을까? 전자제품뿐만 아니라 아이들이 먹는 간식이며 입는 옷이며 침대에까지 온갖 유해물질이 섞여 있지만 소비자들은 현상만 보고 고른다. 어떤 책이 좋은 책인지 어떤 음식이 가족의 건강을 지켜 줄 음식인지... 어떤 직장이 좋은 직장인지,.. 분별하고 판단하기가 점점 더 어려워지고 있다.
이런 복잡한 세상에 신문을 많이 읽고 지식만 많으면 똑똑해지고 판단력과 분별력이 생길까? 조·중·동이냐 아니면 한겨레나 경향신문인가는 가치관에 따라 판단할 문제요, 광고를 보고 선택해 구매하는 문제는 이해관계의 문제다. 어떤 후보를 지지하느냐는 것은 자신의 삶의 질, 복지와 관련된 문제다. 통일의 문제 미군 주둔이나 전시작전권과 같은 문제는 민족의 자존심이나 국가의 이해관계가 걸린 문제다. 통일의 문제는 당장 내 주머니에서 세금을 얼마나 더 내는가가 하는 문제며 주권이 걸린 문제다.
기준과 원칙이 없이 가치혼란의 시대를 사는 사람들.... 하루가 다르게 복잡해지는 세상에서 진실찾기란 미로찾기 같은 세상이 됐다. 이런 세상에 신문을 읽으면 세상이 보일까? 오염된 언론은 한글만 오염시키는게 아니다. 사시(社是)를 보면 하나같이 ‘정직, 진실, 공정보도’를 내세우지만 진실을 보도하는 언론, 객관적인 시각으로 기사를 쓰는 언론은 많지 않다.
노자는 "사람에게 물고기를 주는 것은 그에게 물고기 잡는 방법을 가르쳐주는 것만 못하다(授人以魚, 不如授人以漁)"고 했다. ‘물고기 잡는 방법’이란 지혜다. 지혜란 곧 판단능력이요, 세계관이요 철학이다. 철학이 없이 혼란의 시대, Al시대를 살아갈 수 있을까? 골대는 어느 쪽에 있는지 모른다면 아무리 유능한 축구선수라도 득점을 하지 못한다. 자녀를 사랑하는 엄마라면 보행기를 타고 다니는 아이들에게 영어 과외를 몇 시간 더 시킬 것이 아니라 지혜를 길러주는 철학을 가르쳐 줘야 하지 않을까?
...................................................................
'인성교육자료 > 철학' 카테고리의 다른 글
'가치관'이 다르면 세상이 다르게 보여요 (44) | 2022.08.20 |
---|---|
철학을 배우면 세상이 보입니다 (4) | 2021.08.30 |
막말이 왜 판을 치는가 했더니... (5) | 2019.06.12 |
자녀를 착하기만 한 사람으로 키우시겠다고요? (5) | 2018.10.15 |
나는 내 인생의 주인인가? (4) | 2018.09.0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