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사관련자료/교사
새학기 준비로 가장 바빠야 할 교사들이 한가한 이유... 왜?
by 참교육
2014. 2. 18.
가장 바빠야 할 봄방학, 선생님들이 놀고 있는 이유...왜?
봄방학은 한 학년이 끝나고 새학기를 준비하는 시기다. 그런데 공립학교 선생님들은 새학기를 앞두고 할 일이 없다. 3월 2일 개학하면 이동을 해 낯선 학교에 발령을 받은 선생님도 있지만 같은 학교에 그대로 근무해도 학년이나 교과목 그리고 사무분장이 대부분 바뀐다.
새로 맡을 교과목에 대한 교재 연구며 내가 담당하게 될 학생에 대한 파악 그리고 새로 맡게 될 분장 사무에 대한 연간 계획 등 봄방학은 선생님들이 가장 바쁘게 보내야할 시기다.
새학기 준비를 위해 가장 바빠야 할 선생님들이 봄방학 동안 할 일이 별로 없다. 내가 몇 학년을 맡을 지, 무슨 과목을 당당할 지, 또 어떤 사무분장을 맡게 될 지는 3월 2일에야 발표하기 때문이다. 인사이동의 시기가 3월 1일자이기 때문이다. 선생님들 중에는 같은 학교에 계속근무하는 사람도 있지만 소속은 현재학교의 소속이지만 발령이 난 선생님들은 이미 이 학교 사람이 아니다.
'인사이동의 공백기'.... 2월은 선생님들에게는 들뜬 달이기도 하다. 가는 사람도 남아 있는 사람도... 특히 교장선생님의 이동이 있는 학교에는 그런 공백감이 더 크다. 선생님님들이 허송 세월을 보내는 이유 중의 하나도 결재권의 행사를 하느 교장선생님의 권한행사가 3월 1일부터라는 이유 때문이기도 하다.
우리나라 학기제는 3월 1일부터 다음 해 2월 말까지다. 봄방학은 15일 정도지만 사실상 학기는 12월이면 끝난다. 학기말 고사가 끝나면 성적처리까지 마치고 출석일수만 채우면 새 학년이 되는 절차만 남겨 놓고 있다. 우리나라 학기제는 3월부터 시작되기 때문에 새학기 준비로 가장 바쁘게 보내야 할 교사들은 1년 중 가장 한가한 시간을 보내고 있다.
2월 중순 경, 인사이동이 끝나고 새학교에 발령이 나면 신임교사들은 발령이 난 학교에서 가서 희망학년과 분장사무 희망원서를 제출하고 여유 있는(?) 방학에 들어간다. 발령이 3월 1일자로 나기 때문이다. 새로 맡게 될 교과목에 대한 교재연구와 수업설계는 물론 내가 맡게 될 학생들을 파악하는데 가장 바빠야 할 선생님들이 2월 말까지는 현재 근무하는 학교의 소속이기 때문이다.
교사들에게 3월은 일년 중 가장 바쁜 나날이다. 담당교과며 교재연구며 새로 맡은 학생파악, 그리고 분장업무파악과 연간계획 등등 동분서주다. 여유 있는 봄방학동안 황금 같은 시간을 허송세월(?)로 다 보내고 학기가 시작되면서 손발이 열 개라도 모자랄 지경이다. 결국 교재연구면 학생파악조차 제대로 못한 채 첫 수업을 시작하게 된다. 연륜이 쌓인 교사들이야 그동안 해오던 수업 노하우나 자료들이 있기 때문에 다행이지만 새내기 교사들은 그야말로 정신없는 나날이다.
생활근거지에서 원거리 발령이라도 받은 교사들의 사정은 더욱 딱하다. 옛날처럼 2월 말에 발령이 나지 않아 다행이기는 하지만 과목에 따라 황당한 일을 겪을 때가 한 두 번이 아니다. 고등학교 사회과목의 경우 일반사회를 비롯해 도덕, 정치, 경제, 지리... 등 모두 11과목이다. 국사가 독립과목이 돼 달라지긴 했지만 학교에서는 아직 사회교사로 분류된다. 사회과 전공이라고는 하지만 자신의 전공과목과는 전혀 엉뚱한 과목을 담당할 수도 있기 때문이다. 지리를 전공한 선생님이 정치를 담당하거나 법을 전공한 선생님이 도덕을 가르쳐야 하는 경우도 허다하다.
더더욱 황당한 일은 수업시수를 동학년끼리 조정하다 보면 수업시수를 누가 특별히 더 많이 맡지 않은 이상, 어떤 특정 과목을 쪼개 여러 사람이 분담해야하는 경우가 생긴다. 자연히 어떤 선생님은 일주일에 1시간 혹은 2시간을 맡아야 하는 웃지못할 일이 생기게 되는 것이다. 어떤 선생님은 지리를 16시간 맡고 만만한 도덕시간을 쪼게 한두시간씩 분담하는 경우도 있된다. 이런 경우 지리선생님이 도덕 한시간 수업을 위해 일년 내내 교재연구를 해야 하는 곤욕을 치러야 하는 경우가 그렇다.
수업시수야 학생 수나 학급 수 때문에 어쩔 수 없이 생기는 일이라 감수할 수밖에 없다고 치자. 그렇지만 3월학기가 안고 있는 문제는 선생님들에게 연수를 할 수 있는 기회를 빼앗아 정신없는 3월 을 보내야 한다. 봄방학 전 학년과 담당과목 배정만 끝난다면 그 많은 시간을 교재연구며 학생 파악 등 여유롭게 준비할 수 있다는 말이다. 그런데 준비 없이 시작하는 3월은 교사들은 물론 학생들에게도 고스란히 그 피해가 돌아갈 수밖에 없다.
대안이 없는 게 아니다. 학기제가 3월이 아닌 1월 이라면 문제는 어렵지 않게 해결될 수도 있다. 어차피 성적까지 12월에 끝나고 인사이동이며 새학년 반편성이나 교과며 담임배정까지 끝난다면 1월 방학 한달동안 선생님은 여유롭게 교재연구며 학생 파악 등 새학기 준비를 할 수 있는 것이다. 그런데 왜 하마다 반복되는 이런 악순환(?)을 반복하고 있는지 이해가 안 된다.
인사이동으로 인한 공백의 시기 2월... 이미 발령이 난 선생님들과 남아 있는 선생님... 그리고 발령은 났지만 3월 1일자로 발령이 나 권리행사를 할 수 없는 교장선생님... 교사들의 방황기(?)인 인사이동 시기 조정... 어쩌면 그것이 문제를 해결할 수 있는 열쇠가 될 수도 있다. 새로 맡게 될 교과목이며 담임, 그리고 분장 사무를 인수인계 받아 봄방학동안 알찬 준비를 할 수 있는 시간이 일년중 가장 한가한 시간이 되고 만 모순을 어제까지 구경만 하고 있어야 할 것인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