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교사관련자료/학교

친환경 학교매점, 마음만 먹으면 언제든지 가능해요

by 참교육 2013. 5. 7.
반응형

 

                                    <사진 설명 : 이화금란중학교 건강매점 ‘쉬는시간’>

 

학생들이 이용하는 학교 매점은 어떤 모습일까?

 

아침도 먹지 않고 등교하는 학생들.. 1교시가 끝나기 바쁘게 몰려온 학생들로 학교매점은 발디딜 틈이 없이 붐빈다. 학생들이 구매하는 물품을 보면 주로 빵이나 햄버거, 우유 그리고 라면 종류다. 아침도 먹지 않은 빈속에 일회용 라면에 뜨거운 물을 부어 채 익지도 않은 라면을 건져먹고 있는 아이들을 보모들이 본다면 어떤 기분일까? 어떤 학생은 커피를 뽑아 아침식사를 대신하는 학생들도 보인다.

 

학교 매점, 어떻게 운영하고 있을까?

 

‘학교에 임대료를 지불하고, 코흘리개 용돈을 가지고 운영하는 매점들의 다수는 수익을 내기 위해 어쩔 수 없이 정체불명의 불량 식품을 팔아야지만 수익이 나는 구조다. 이러다보니 아이들의 건강을 알게 모르게 해치고 있는 것이 학교 매점의 현주소이다.’

 

서울영림중학교 박수찬 교장선생님이 쓰신 ‘학교에 친환경 매점이 활짝 열렸어요’라는 글에 나오는 얘기다.

 

지난 2012년 5월, 영림중학교 학부모들은 ‘아이들의 건강을 위해 지역에 있는 생협 물품을 제공 받아 친환경 매점을 운영하자는데 공감, 학부모 사업의 일환으로 매점을 직접 운영해 보자고 학교운영위원회에 안건을 상정했다. 그러나 친환경매점을 학부모회가 맡아 운영하기에는 어려움이 한두가지가 아니었다.

 

학교의 매점 임대 사업을 하기 위해서는 수의 계약이 아닌 공개 입찰을 통해 매점을 운영해야하는 어려움이 있었지만 학부모들이 만든 매점위원회는 ‘매점 판매 조건으로 친환경 물품 80% 이상’이라는 문제를 학교장을 비롯한 선생님들의 전폭적인 지원을 받을 수 있어 가능했다.

우여곡절 끝에 영림중학교는 학부모, 교사, 지역 사회 주민을 포함한 협동조합 출자금 327만원을 모아 '여물점'이라는 친환경 상품을 판매할 수 있는 학교매점이 문을 열게 됐다.

 

필자가 정년 퇴임한 마산의 합포고등학교도 그랬었다. 지금은 달라졌는지 모르지만 그 때만 해도 대부분의 학교는 학교매점의 필요성 때문에 수의계약으로 외부업자가 운영하는 경우가 대부분이었다. 그러다보니 학생들의 건강을 생각하기보다 수익을 목적으로 운영하게 되고 자연히 비싼 친환경물품보다 싸구려 불량식품까지 판매하는 경우가 허다했다.

 

 

보다 못한 선생님들이 학교매점을 외주가 아닌 직영으로 하자고 제안, 판매원을 고용해 운영하게 되었다. 학교매점 운영은 예상했던 것보다 많은 수익을 얻게 되고 판매이익을 장학금이나 학생복지에 사용할 수 있었다. 학교매점의 투명한 운영으로 점차 학교장과 학부모 그리고 학생회의 적극적은 호응을 얻게 됨으로써 학교매점은 성공적으로 운영할 수 있었다.

 

청소년 건강의 사각지대로 방치되고 있는 학교 매점

 

현재, 어린이 식생활안전관리 특별법(2009년 3월)이 시행 되었지만, 학교매점 실태에 대한 공식적인 조사는 단 한 번도 이루어 진적이 없다. 2008년 YWCA의‘학교 매점 실태조사’와 2010년 한양대 이상선 교수의 ‘청소년 간식 섭취 실태조사’에 따르면 학교매점은 청소년 건강과 안전의 사각지대다.

 

YWCA가 발표한 자료를 보면 14개 도시 57곳의 중·고등학교 중 24개교(42.86%)에서 커피를 판매하고 있으며, 그중 12개교(21.43%)에서는 탄산음료(고 카페인 음료 포함), 뿐만 아니라 무허가(무신고)식품도 팔고 있으며, 친환경, 유기농 원료 제품을 판매하는 곳 은 단한 곳도 없다고 한다.

 

\국회보건 복지위원회 김희국의원이 발표한 자료에 따르면 현재 학교매점에서 청소년이 가장 많이 구입하는 빵 류(햄버거) 75%, 용기면 72%, 탄산음료는 77%가 고열량·저영양 식품으로 분류되었으며, 캔디류도 비만을 유발할 위험이 큰 제품이 60% 이상으로 높은 비중을 차지하고 있다고 한다.

 

학교 주변 200 m 이내는 ‘어린이 식생활관리특별법’에 의해 그린 푸드 존으로 지정되어 있어 고열량·저영양 식품 판매를 하지 못하도록 되어 있지만, 학교매점의 관리는 관리부처의 분산으로 일선 학교에만 맡겨두고 있는 실정이다.

 

마음만 먹으면 학교운영위원회에서 언제든지 영림중학교와 같이 지역의 생협이 제공하는 안전한 먹거리를 판매할 수 있는 친환경 매점이 가능하다. 학생들의 건강을 해치는 학교매점, 언제까지 학생들을 먹거리 사각지대로 방치해 둘 것인가?

 

-이미지 출처 : 다음 검색에서..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