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종교

가난은 축복인가 저주인가?

by 참교육 2011. 6. 23.
반응형

성경을 읽다보면 참 헷갈린다. 마태복음 5장 3절에는 "심령이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천국이 저희 것임이요."라고 쓰여 있는데 누가복음 6장 20절에는 ‘가난한 자는 복이 있나니 하나님의 나라가 너희 것임이요’라고 기록되어 있다.
하나님의 영감을 받아 기록했기 때문에 일 점 일획도 틀림이 없다는 고전적 성경(형성)관 즉 무오류설은 이 구절을 뭐라고 해석하는지 몰라도 ‘마음이 가난한자’와 ‘가난한자’는 뜻이 다르다.

                                               <이미지 출처 : 다음 이미지 검생에서>

왜 이 성경구절이 생각났는가 하면 졸업식을 며칠 앞 둔 어느 날 한 여학생이 내게 찾아왔다. 말문을 열기도 전에 눈물부터 흘리면서 하는 말 “선생님. 저 등록 못했어요!” 이 말 한 마디를 해 놓고 눈물을 뚝뚝 흘리는 것이었다. 대학에 합격하고도 등록을 못하는 제자를 보고 ‘가난이란 무엇인가’를 다시 생각하게 됐다. 친구들은 하나같이 대학생활을 꿈꾸며 마음이 들떠 있는데 수시모집에 합격하고도 등록을 포기해야 하는 어린 마음이 어떠했을까?

그런데 왜 성서는 이런 가난을 두고 축복이라고 했을까? 예수님이 가난의 고통이 얼마나 처절한지 몰라서 비아냥거렸을 리도 없는데 말이다. 가난이란 사전적으로 ‘마땅히 있어야 할 무엇인가가 부족하고 결핍되어 있는 상태’를 말한다. 그렇다면 가난이란 '신체의 어느 부위를 잃었거나 돈이 없거나, 정신적으로는 머리가 나쁘다든지 의지가 약하거나, 알아야 할 것을 알지 못하는 것‘ 등이 아닐까? 이렇게 해석하면 ’가난한자가 복이 있다‘는 말은 축복이 아니라 저주에 가깝다.


그렇다면 왜 마태는 ‘심령이 가난하자’가 복이 있다고 하고 누가는 ‘가난한자는 복이 있다..’라고 했을까? 예수님같이 훌륭하신 분이 한 입으로 두 가지 말을 했을 리도 없는데 말이다. 신학자가 말하는 ‘가난한 자’와 ‘마음이 가난한자’의 차이를 성경을 최초로 기록한 누가의 ‘가난한 자’가 이를 참고로 후에 기록한 마태가 ‘부자들의 눈치를 살핀...’ 기독교와 세상의 타협으로 보는 사람도 있다.

나는 여기서 성경의 무오류설이나 마태의 변절(?)을 따지고 싶은 생각은 없다. 다만 성경공부를 체계적으로 하지 못한 문외한의 판단으로는 성경에서 말하는 가난이란 '경제적이 부'에 무게 중심을 두고 한 말이 아니라 '무욕(無慾)과 무소유(無所有), 그리고 섬김과 나눔의 마음‘이 아닐까 나름대로 해석하고 싶다. ’마음이 배부른자‘는 사실이 사실로 보이지 않는다. 절대 빈곤에 맞닥뜨려 보지 않고 어떻게 가난한 자의 고통을 안다고 할 수 있는가?

가난을 보는 사람들의 시각도 가지각색이다. 고전적인 의미로 ‘가난은 나랏님도 못막는다.’거나 ‘부자는 하늘이 내려준 축복이다’는 운명론적 해석이 있는가하면 오늘날의 가난은 ‘개인의 노력보다 사회적인 정책이나 제도가 만든 결과’로 보는 이도 있다. 사실 일할 의욕이 없거나 일거리가 있어도 게을러서 가난해지는 ‘자초한 가난’이야 당연한 업보겠지만 일자리가 없거나 열심히 일해도 가난을 벗어나지 못하는 경우야 개인에게만 책임을 지우는 것은 무리다.


한 치 앞이 보이지 않는 절망 앞에서 죽음을 생각하는 사람을 두고 ‘죽을 용기가 있으면 무슨 잣인들 못하리...’라고 말하는 사람이 있다. 자살을 정당화하거나 교사(敎唆)하겠다는 뜻이 아니다. 이들에게 희망을 앗아간 정책이나 제도가 밉다는 뜻이다. 희망이 보이는 데, 가능성이 있는데... 누가 죽고 싶다는 생각을 할까? 가난한 사람이라고 죽음의 공포나 희로애락을 모르겠는가? 그들에게도 사랑하는 사람이 있고 행복해질 권리도 있다.

꿈 많은 소녀에게 고통과 좌절감을 안겨주는 가난이 없는 사회를 만들 수는 없을까? 정직한 부자는 축복받아 당연하다. 그러나 오늘날의 가난은 부자들의 지나친 탐욕이나 그들과 손잡은 권력이 만든 결과다. 가난한 사람들이 누려야 할 당연한 권리. 그것은 부자들이 만든 국부(國富)의 공적 못지않게 중요하고도 귀하다. 가난하다는 이유만으로 인간으로서 누려야할 최소한의 권리조차 앗아간다면 이런 사회에서 천국의 희망을 꿈꾸는 자는 과연 몇이나 될까? 각박한 세상에서 ‘가난한 사람은 천국이 저희 것’이 될 수 있는 세상이 기다려지는 이유는 나만의 욕심일까?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