내 눈에도 보이는데.... 그 많은 전문가들... 교육학자들, 교육관료들...의 눈에는 왜 안 보일까? 학교에서 승진도 못하고 평교사로 정념퇴임한 교사의 눈에도 보이는....
제가 답답해서 경남도민일보 사설과 칼럼에 썼던 글들입니다. 1989년부터 썼던 글인데.... 경남도민일보에는 2001년부터 데이트베이스화(database, DB)해 두었네요. 다행이 스크랩을 해 둔게 있어 찾아 봤더니 틀린 얘기가 아니네요.(오른 쪽 '또 입시지옥 부활시킬건가' 사설은 2002년 6월 17일 썼던 글입니다.)
또 다시 바뀌는 입시제도
2000년 12월 2일 토요일
2002학년도 대학입시전형이 발표됐다. 내년부터는 대학입시가 특정시기에 국한되지 않고 연간 계속된다. 바뀐 입시제도의 내용을 보면 지금까지의 특차가 폐지되고 수시모집과 정시모집으로 이원화됐다. 대학들이 끊임없이 요구하던 대학별지필고사는 고교교육의 정상화를 해친다는 이유로 전면 금지됐다.
지금까지 소수점 두자리까지 서열화하여 80여만명의 수험생들의 순위를 가리던 총점제는 폐지되고 수능성적을 9등급으로 나누어 면접이나 논술, 학생부성적 등을 다양화하게 반영하여 신입생을 선발하게 된다. 정부수립 후 ‘대학별단독시험제’로 시작된 대학입시제도는 대학연합고사대학입학예비고사 등을 거쳐 무려 여덟 번째 바뀐다.
잦은 입시제도의 변경은 학부모와 수험생은 물론 입시지도를 해야 하는 교사들을 곤혹스럽게 하고 있다. 수능성적의 반영비중을 낮춰 사교육비를 줄이겠다는 정부의 의지를 모르는바는 아니지만 잦은 변경에 학생도 짜증스러워 하고 있다. 더구나 입시제도는 ‘정권이 바뀌면 또 바뀌게 될 것’이라는 불신까지 받고 있는 것이다.
인간이 만든 제도가 완벽하기를 기대할 수는 없다. 그러나 교육문제에 고나해서 만은 시행착오를 최소화하여 소수의 피해자도 없도록 해야한다. 그민큼 입시제도의 변경은 중고등학교의 교육내용이나 개인적인 삶의 방향을 좌우할 수 있기 때문이다. 국가의 백년지대계인 교육이 철학도 원칙도 없이 특정정권의 전시홍보용이 되어서는 안 된다. 정보화시대의 교육은 삶의 질을 높이고 국가 경쟁력을 향상시키는 미래지향적이어야 한다.
2002년부터 시행되는 새 입시제도는 지금까지 전국의 수험생을 한 줄로 세우던 방식에서 진일보한 방식임을 부인할 수 없다. 그러나 입시과열방지와 사교육비부담을 해소하기 위해 도입된다는 수능9등급제는 1점 차이로 등급이 달라질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수능의 대안으로 제시된 학생부나 추천서의 공정성·객관성문제는 풀어야 할 과제로 남아 있다. 더구나 평준화지역과 비평준화지역특수목적고와 일반고교사이의 학력차를 어떻게 해결할 것인가에 대한 문제는 교육부가 풀어야 할 몫으로 남는다.
(아래 글 제목을 클릭하시면 보실 수 있습니다.)
공교육정상화 요원한 입시제도 (2001년 01월 22일 월요일)
장관따라 바뀌는 입시제도 (2001년 04월 23일 월요일)
교육정책 실패, 책임물어야 한다 (2001년 07월 18일 수요일)
불평등 세습시킬 자립형 사립고 (2001년 08월 21일 화요일)
학벌파괴 없는 교육개혁은 기만이다 (2001년 09월 19일 수요일)
수능문제, 근본적인 해결책 찾아야 (2001년 12월 10일 월요일)
과열경쟁 교육 언제까지 (2002년 08월 19일 월요일)
수능은 자격고사제로 바뀌어야 (2002년 01월 05일 토요일)
......................................................................
'교육정책 > 교육개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등교연기가 아니라 교육혁명을 고민할 때다 (18) | 2020.05.13 |
---|---|
지식만 암기시키는 교육은 교육이 아니다 (19) | 2020.05.06 |
유은혜장관님 교육개혁이 아니라 혁명입니다 (5) | 2019.09.27 |
‘특권계층에 유리한 제도’만 바꾸면 교육을 살릴 수 있나? (4) | 2019.09.26 |
지식만 가르치는 교육은 우민화교육입니다 (1) | 2019.08.1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