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담임 선생님은 다양하고 효과적인 방법으로 학습지도에 적극 임한다고 생각하십니까?(수업실행)...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2. 담임 선생님은 자녀가 학교생활을 잘 할 수 있도록 관심을 갖고 바르게 지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생활지도)...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3. 담임 선생님은 학급을 즐겁고 신나게 운영하고 있다고 생각하십니까?(※학급경영 영역 추가 시)...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학부모에 의한 만족도 조사 중 학부모 만족도 조사 문항이다.
이런 조사방법으로 교원의 전문성이 신장되고 공교육 신뢰도가 높아질까?
1. 선생님은 자녀가 흥미를 갖고 학습에 참여하도록 준비한다고 생각하십니까?(수업준비) -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2. 선생님은 자녀가 학습내용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가르친다고 생각하십니까?(수업실행) -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3. 선생님은 자녀가 학습에 성취감을 갖도록 지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평가 및 활용) -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4. 선생님은 평소 상담활동을 통해 자녀를 잘 이해하고 바르게 성장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개인생활지도) -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5. 선생님은 자녀가 친구들과 잘 어울리며 즐겁게 학교생활을 할 수 있도록 지도한다고 생각하십니까?(사회생활지도) - 매우 그렇다. 그렇다. 그렇지 않다. 매우 그렇지 않다. 잘 모르겠다.
이렇게 평가하고 ‘담임 선생님의 좋은점’과 ‘담임 선생님께 바라는 점’을 서술식으로 기록해 담임교사의 자질향상과 전문성이 신장될 수 있을까?
2000년 교원평가제 도입 논의가 있은 지 10년의 세월이 지났다. 교원평가제가 도입되면 이른바 부적격 교원을 퇴출하고 교원전문성을 신장하여 교육의 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는 것이 정부가 교원 평가를 도입한 이유였다.
이명박정부시절, 교육부는 △교원평가 결과의 승진 등 교원인사 및 성과급과의 적극적 연계 △외부 경영전문가 등의 교장 공모제 확대 △학부모 평가의 실효성 제고를 위한 교원 수업 온라인 공개 △과도한 학습부담 감축과 객관식 문제풀이 중심의 평가개선 등을 위한 2단계 국가교육과정 개편 등을 초·중등 분야 중점 추진의제로 제시했다.
결과는 어떻게 됐을까? 올해 1월, 대통령 자문기구인 국가교육과학기술자문회의가 공개한 국민교육의식조사 결과에서 조차 교원평가제는 이명박 정부의 17개 핵심정책 중 꼴찌를 기록하였으며 차기 정부에서 반드시 폐지 또는 축소해야 할 정책으로 교원평가가 1위를 차지하였다.
학교는 지금 학부모를 위한 보여주기 식의 전시성 수업 공개, 동료와 학생들의 체크에 의해 한 줄로 세워지는 무의미하고 비인간적인 경쟁, 동료교사를 저울질하면서 업무의 폭증으로 제대로 수업조차 할 수 없도록 하고 있는 것이 교원평가다.
교육부는 학생들의 교원평가 참여율을 높이기 위해 입학식, 개학식 등과 같이 '교과나 창의적 체험활동시수에 포함하지 않은 학교행사로 1시간, 담임교사 지도교과의 연간지도 계획에서 단원 정리나 총정리를 위한 시간 중 1시간, ICT활용교육시간 중 1시간 확보' 등을 통해 학생참여를 강제해 학교교육과정을 파행으로 몰고 있다. 교사가 지도하는 정규수업시간을 이용하여 학생들에게 교사를 평가하라고 종용하니, 교사도 학생도 얼굴을 들 수 없는 반 교육적 상황과 갈등이 연출되고 있는 것이다.
교원평가뿐만 아니다. 학교평가 성적을 올리기 위해 일제고사 향상도, 특색사업 참여 정도, 교원의 직무연수시간, 학교폭력 지도실적으로 등수를 매기고 있다. 이러한 전시행정, 업무과다, 허위보고, 교사-학교통제, 묻지마 연수 등으로 학교현장을 망가트리고 있다. 학교성과급이나 학교평가는 교원들 간 건강한 경쟁을 유발하기보다는, 교원간-학교간 불화와 갈등을 일으키고 교원들을 허탈하게 만들고 있다.
이제 경쟁만능 학교평가, 교원평가제를 폐지해 교육주체 간 대화와 소통을 통한 사회적 합의의 길로 나서야 한다. 학부모, 학생, 교사 등 교육 3주체가 서로 협력하고 소통하며 주체적으로 학교 교육과 경영에 참여할 수 있는 제도부터 마련해 법제화해야 한다. 그것이 교육다운 교육을 할 수 있는 진정한 교원의 전문성과 공교육의 신뢰를 높일 수 있는 교육하는 학교를 만들 수 있을 길이다.
- 이미지 출처 : 구글 검색에서...
김용택의 참교육 이야기 - 김용택 지음/생각비행 |
'교육정책'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만원에 이어 교육공약도 줄줄이 폐기수순... (13) | 2013.10.09 |
---|---|
자유학기제, 원론은 옳지만 각론이 틀렸다 (8) | 2013.09.21 |
잃어버린 교육을 찾습니다 (17) | 2013.09.06 |
매관매직, 학생폭력, 자살 교육청이 우수교육청? (8) | 2013.08.31 |
학교교육 정상화, 내신과 수능 단순화가 답이다 (15) | 2013.08.30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