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삼종지도6

세계 여성의 날에 생각해 보는 남녀평등 세상 만약 우리 여성들이 생활비를 벌기 위해서 집밖으로 나갈 수 있다면, 만약 우리가 남성들과 동등한 일을 하고 같은 임금을 받을 수 있다면, 만일 여러분이 여러분의 조직을 만들어 노동조합에 들어갈 수 있다면, 그리고 산전산후 휴가와 탁아소 시설에 어린아이를 맡길 수 있다면, 우리가 공부할 수 있는 기회가 있고 우리 중의 누가 의사, 박사, 법관, 전문기능직 그리고 교수가 될 수 있다면, 우리가 재산을 상속받고 우리의 이름으로 가질 수 있다면, 오늘 날 우리가 모든 투표에 참여할 수 있다면, 우리가 정당과 공공 기관에 들어가기 위해 경쟁할 수 있다면, 우리가 우리의 성(Sexuality)과 수태를 조정할 결정권이 있다면, 이것 모두는 바로 우리들의 어머니와 할머님들의 피나는 투쟁이 있었기 때문입니다" - 코펜.. 2013. 3. 8.
성차별의 역사, 전족(纏足)이라는 말 들어보셨어요? ‘두 발로 서고자 하나 넘어지고 마네. 가늘고 고와 아마도 어려울 것 같으니, 손바닥 위에서나 보아야겠네.’ 중국 송나라 때의 대표적 시인 소동파(蘇東坡 ;1037 ~ 1101)가 전족(纏足)을 한 여인의 자태를 아름답게 표현한 시구다. 한걸음 떼어 놓고 한숨 한 번 쉬고 두 걸음 떼어놓고 눈물 가득 흐르네 비한 방울에 슬픈 눈물 한 줄기 바람 한 바탕에 긴 한숨 한 번 관한경(關漢卿)이 지은 「규슈의 원한」의 한 대목이다. 같은 사안을 두고 한 사람은 예찬을... 한사람은 비애로 표현한 전족(纏足). 여성이라는 이유로 덧씌워졌던 성차별. 그 질곡의 역사를 살펴보자. 전족(纏足)이란 무슨 뜻일까? 사전을 찾아보니 ‘완전한 발이라는 뜻으로, 양발을 완전히 구비함을 이르는 말’ 혹은 ‘앞발(네발짐승의 앞쪽 .. 2012. 3. 8.
성의 상품화 시대에 남여평등은 가능할까 "아침 식탁에 앉아 아내가 밥상을 차려 주기를 기다리는 남자" "아내에게 걸려 온 전화를 '누구냐' 라고 묻는 남자" "아내가 보고 있는 텔레비전을 허락 없이 채널을 돌리는 남자" 한 때 유행했던 간 큰 남자 시리즈에 나오는 이야기이다. 최근에는 주춤해 졌지만 간 큰 남자는 아직도 유효하다. 그렇다면 지금은 여성상위시대인가? 여권이 남성들의 권한을 능가하는 제도적인 조건이 갖추어 진 남녀 평등이 실현되고 있다고 볼 수 있으까? 아직도 일부 여성들의 불륜이나 탈선이 보도를 통하여 사회적 지탄의 대상이 되기도 하지만 남성들의 불륜은 개인의 도덕성으로 치부(置簿)되는 경우를 보아서도 우리 사회의 봉건성은완전히 해결된 것은 아닌 것 같다. 그렇다면 여성이 사람다운 대접을 받기 시작한 것은 언제부터일까? 1. 자.. 2010. 12. 31.
선생님은 남잔데 왜 여자편이예요? “암탉이 울면 집안이 망하는 게 아니라 암탉이 울면 알을 낳는단다.” 이러한 생각은 7거지악이나 3종지도와 같은 유교윤리가 낳은 성차별이란다. 7거지 악이란 과거 중국, 한국 등 유교문화권에서 남편의 일방적인 의사표시로 아내와 이혼할 수 있는 일곱 가지 이유다. 시부모에게 순종하지 않음(不順父母) 아들이 없음(無子) 음탕함(不貞) 질투함(嫉妬) 나쁜 병이 있음(惡疾) 말이 많음(口說) 도둑질을 함(竊盜) 삼종지도란?예전에, 여자가 따라야 할 세 가지 도'로서 '어려서는 아버지를, 결혼해서는 남편을, 남편이 죽은 후에는 자식을 따라야 한다'는 윤리란다. “요즈음도 어른들 중에는 여자는 여자다워야 한다느니, 여자가 머슴애처럼... 어쩌고 하는 말은 아직도 우리들의 머리속 깊숙이 성차별의식이 남아 있다는 증거.. 2010. 12. 12.
여성의 해산고통은 남자를 유혹해 죄를 짓게한 댓가(?) - 종교의 여성관 - 남녀를 표현할 때 남자에게 '계집애' 같다고 하면 모욕적인 언사가 되고 여자에게 '치마를 둘렀으니 여자지, 남자못지 않다'고 하면 칭찬이 된다. 보통 '남자답다'는 표현은 진취적이고 이성적인 남녀를 가리키고 '여자답다'고 하면 다소곳하고 소심하다는 뜻으로 통한다. 우리사회의 뿌리깊은 남존여비의 풍속은 민주주의를 사는 시민의 의식 깊숙히 까지 남아 있다. 오늘은 종교의 여성관에 대하여 살펴 보자. 인류 역사를 50만년으로 본다면 49만 5천년 이상은 모계중심사회였으나 정착하여 농경생활이 시작되고 사유재산과 계급이 발생한 이후는 부계중심사회로 바뀐다. 종교는 계급사회 이전에는 자연에 대한 공포나 경외에서 출발하지만 계급이 발생한 후에는 체제유지 이데올로기로도 작용했음을 부인할 수 없다... 2010. 10. 23.
남녀평등, 실현되고 있는가 1. 자식( 아들 )을 낳지 못하는 여자. 2. 악한 병( 나병 )에 걸린 여자. 3. 음란한 여자. 4. 질투심이 강한 여자. 5. 말 많은 여자. 6. 도둑질 하는 여자. 7. 불효한 여자. 위의 일곱 가지가 봉건 사회의 여성에 씌어졌던 굴레인 칠거지악이다. 조선시대 여성들이 결혼 후 위의 7가지 조건중 한 조항에라도 해당되면 '시집가면 남'이 되는 풍속이 존속되는 사회에서 시집에서 쫒겨 나는 수모를 당해야 했다. 남존 여비가 미덕이 되는 유교 풍속이 지배하는 사회에서는 남자 중심의 판단기준으로 여성에게 일방적 희생을 강요하였다. 봉건 사회의 도덕은 여성의 일방적 희생을 요구하는 비민주적인 사회였다. '어릴때는 부모에 따르고, 젊어서는 남편에 따르고, 늙어서는 자식의 뜻에 따르는' 삼종지도의 도덕이 .. 2010. 10. 22.
반응형