살면서 평생 가기 싫은 곳이 병원과 경찰서, 교도소라고들 한다. 학교는 어떨까? 학부모들치고 학교에 가고 싶다는 부모를 본 일이 없다. 왜 그럴까? 학생과 학부모, 교사를 교육의 3주체라고 한다. 아무리 훌륭한 교사라도 학생이 마음을 닫고 있으면 교육이란 불가능하다. 또 학부모가 학생의 성장과정, 병력, 가치관, 성장환경, 특기나 적성, 소질이나 취미, 장래희망 등에 대한 자세한 정보를 제공해 주지 않으면 인성교육을 제대로 하기 어렵다. 교육관이 투철한 교사를 만난다는 것은 학생이나 학부모에게 큰 행운이다.
교육의 한 주체인 학부모들은 교육에 참여해 자녀교육에 함께 하는가? 보통 학부모들은 아이가 초등학교에 입학해 고등학교를 졸업할 때까지 단 한 번도 담임선생님을 만나지 않는 사람들이 대부분이다. 어쩔 수 없이 일 년에 한번, 담임교사가 바뀌면 단체면접(?) 의례로 만나는 경우도 있지만 형식적인 만남으로 끝이다. 혹시 아이에게 문제가 생겼거나 말썽을 일으키면 학교에서 호출(?)을 당해 담임과 상담하는 경우는 있지만 이런 경우 학생교육에 동참하는 학부모의 역할이 아니다.
학부모들은 대부분 담임을 만나기를 좋아하지 않는다. 학부모들은 학교에 가면 경제적인 부담을 해야 하는 게 아닐까, 혹은 말께나 하는 잘난 학부모들 틈에 말실수는 하지 않을까 하는 부담감을 갖고 있다. ‘아이를 맡겨놓고 어떻게 빈손으로 담임선생님을 만나러 가느냐?’는 사람도 많다. 아이를 맡겨놓고 찾아 가면 식사라도 대접을 해야 하는 게 아닌가?, 혹시 내가 말이라도 잘못해 아이에게 피해가 가지 않을까?... 그런 걱정 때문이다.

‘선생님은 학부모가 고용해 월급을 주는 사람인데 왜 그렇게 조심스러워 하느냐?’고 해도 막무가내다. 평소 때 교사를 우습게보다가 담임과 학부모의 관계가 되면 상황이 달라진다. 내 아이가 일년동안 말썽 피우지 않고 무사히 넘어가주기를 바라는 게 학부모들의 정서다. 아이에 대한 정보를 전해주고 담임교사가 학생지도를 하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도록 교육의 주체로서 참여해야 한다는 원칙적인 동의를 하면서도 그게 안 된다. 문제가 생기면 그 때가서야 뒤치다꺼리를 하느라 담임을 만나지 않을 수 없는 게 학부모의 처지(?)다.
학부모는 세금과 등록금 납부 그리고 학교운영지원비 등 학교교육에 필요한 모든 경비를 부담하고 나아가 교육의 결과에 대한 직접적인 이해당사자다. 따라서 교육에 관여할 권리가 있고, 더구나 우리나라는 학부모의 교육에 대한 관심이 세계 그 어느 나라보다도 높은 것이 현실이다. 그러나 그동안 우리교육에서 학부모의 역할과 권리는 보장받지 것 또한 사실이다.
아이를 학교에 맡겨놨다는 이유로, 담임을 자주 찾아 인사를 못한다는 이유로 학부모와 교사, 학부모와 학교의 관계는 죄인(?)이 되는 그런 관계였다. 이러다 보니 학부모는 학교교육에 대해 불만이 있어도 이를 표출하거나 시정을 요구할 수도 없는 구경꾼이 될 수밖에 없었다. 학부모에게 주어진 권리는 다만 학교가 싫으면 다른 학교로 전학을 하던가, 아니면 사교육을 통해 문제를 해결하거나 그것도 아니면 아예 학교교육을 포기하는 것이 전부였다.
이렇게 어려운 학교와 학부모의 관계를 뛰어넘어 뻔질나게 학교를 드나드는 사람이 있다. 학교운영위원 중 자녀를 위해 학부모위원이 된 사람이다. 아니면 어머니회 회장단의 한 사람이거나 자신의 경제력이나 사회적 지위를 과시해 학교장에게 자신의 건재를 과시하고 싶은 사람이다. 이런 사람들이 만드는 게 학부모회다.

이런 사람들이 학교에 영향력을 행사하고 학교장에게 자기과시를 위해 만든 단체가 후원회, 사친회, 기성회, 학교 육성회 같은 단체였다. 이런 사람들은 학부모들에게 찬조금이니 뭐니 하며 학부모들에게 경제적인 부담을 지워 학교에 대한 인상을 나쁘게 만들었다. 고급 승용차를 타고 나타나 학교장을 만나 점심을 먹거나 잡담을 하면서도 담임을 만나지 않는다. 힘없고 꾀죄죄한 담임을 만날 필요를 느끼지 않는 것이다. 학교장과 친한 사람이라는 걸 과시해도 담임은 알아서 자녀를 보살펴 줄 것이라고 믿기 때문이다.
교육의 한 주체d니 학부모가 교육으로부터 소외를 받는 학교에 진정한 교육이 가능할까? 더구나 교육이 상품이라는 7차교육과정에서 교육소비자들에게 선택권조차 박탈하고 학생들에게 학습권을 보장하고 교육기회를 공정하게 부여한다는 것은 기만이다. 학부모들이 학교경영의 의사결정에 참여해 교육소비자로서 권리를 제대로 행사하기 위해서는 이미 결정해 놓은 상황에 동의하는 수준이 아닌 적극적이고 창의적인 의사표현의 기회가 주어져야 한다.
학부모회는 탄생하면서부터 돈과 교육현장의 연결고리로 작용하며 치맛바람, 각종 잡부금, 촌지로 인해 '학원부패의 온상'이라는 불명예의 부끄러운 역사를 갖고 있다. 지금도 학부모의 교육 참여를 위해 학교운영위원회라는 게 있지만 자문기구 혹은 심의기구수준으로는 전체 학부모들의 요구를 대변하기는 역부족이다. 학부모회를 법적인 의결기구로 보장해 학부모들의 의사가 교육과정에 반영할 수 있는 기회가 보장되지 않는 한 학교의 민주화도 학부모의 교육 참여도 기대할 수 없다. 학부모가 소외된 학교에 어떻게 민주적인 학교운영을 기대할 수 있겠는가?
이미지 출처 : 구글 검색에서....
댓글을 달아 주세요
봄 방학기간이 선생님들에게 인사이동등 어수선한 분위기에
2014.02.18 07:37 [ ADDR : EDIT/ DEL : REPLY ]정작 한가하기만 하군요. 좋은 날 되세요.^^
3월에 학기가 시작되는 이유를 정말 알 수가 없어요.
2014.02.18 08:08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졸업을 앞둔 학생들은 소속도 없다는 걸.
교육당국은 어떻게 받아들이고 있는지..
좋은 방법이 될 듯 합니다만...
2014.02.18 08:08 [ ADDR : EDIT/ DEL : REPLY ]고운 날 되십시오
여러모로 불편한 행정이 많군요.
2014.02.18 08:11 [ ADDR : EDIT/ DEL : REPLY ]선생님들이 봄방학 기간을 잘 활용할 수 있도록,
교장선생님이 양보하셔야 할 듯...^^~~
우리나라 교육문제가 곳곳에 있습니다. 고칠 곳이 한 두군데가 아닙니다.
2014.02.18 08:20 [ ADDR : EDIT/ DEL : REPLY ]정말 모순이 많은것 같네요.
2014.02.18 08:28 [ ADDR : EDIT/ DEL : REPLY ]포스팅 잘 보고 갑니다.
편안한 하루 되세요. ^^
ㅎㅎ우리 교장 선생님은..
2014.02.18 09:00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신학기 준비로...봄방학 동안은...
자가연수도 못내게 한답니다.
방법이긴 하군요. 잘 보고가요
지금 선생님 글 읽고 있으면서 엉뚱한 생각만 하고 있습니다. 죄송합니다. 어떻게 한 번에 '행간(行間)'을 키워서 가독성을 좋게 할까.....
2014.02.18 09:27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내용에 집중하지 못함을 용서하십시오.
어떻습니까? 김용택님!
2014.02.18 11:49 [ ADDR : EDIT/ DEL : REPLY ]이러한 모습들을 보실 적마다 지난 교직 생활을 떠 올리시며
희노애락을 보내셨던 그 때 그 추억들이 생각이 나시지는 않는지요.
그 동안 김용택님과 같은 한결같은 스승님들이 계셨기에 그 수고는 결코 헛됨이 없이
많은 제자들또한 분명코 아름답게 성장해 나갈 것입니다.
자세히 알고보니 문제 투성이네요,,
2014.02.18 13:17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알면서도 고치지못한다는건 의지가 없기 때문일것 같고요..
요즘의 방학과 개학의 시기와 기간을 조정해야할 필요가 있다고 봅니다.
2014.02.18 14:0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학교 졸업 후 붕 떠버리는 아이들이 있기에 이러한 것도 방지할겸...
요즘은 2월 봄방학 기간에 학년업무를 미리 발표하여 새교육과정수립과 새학년도 준비로 매일 출근합니다 참 옛날 얘기하는 분이군요
2014.02.19 20:25 [ ADDR : EDIT/ DEL : REPLY ]오늘부터 설레는 새학기, 신학기입니다.
2014.03.03 09:07 [ ADDR : EDIT/ DEL : REPLY ]아이들이나 선생님 모두에게 설레는 날이죠
오늘도 행복한 하루 보내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