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 한명 대학까지 보내는데 드는 양육지가 무려 2억6천 2백만 원, 유아기 때부터 중·고등학교 다닐 때까지의 드는 비용이 1억 7천만 원....이란다.(유아 사교육비 2,938만원, 초등 6천 3백만 원, 초등학교 6,300만원, 중학교 3,535만원, 고등학교 4,154만원, 대학교 6,811만원) 한국보건사회연구원이2011년 1월 발표한 통계다.

"지난해 초·중·고교 학생 사교육비 총액 20조 1,266억 원"(4대강 총예산 24조 6천억, 국방비 29조원과 맞먹는 액수다) 초·중·고교 698만 7,000명이 사교육비로 지출된 총액 20조 1,266억 원 중 초등학교 학생 313만 2,000명이 부담한 사교육비는 9조 461억 원, 중학교 학생 191만 1,000명이 부담한 사교육비는 6조 6억 원, 고등학교 학생 194만 4,000명이 부담한 사교육비는 5조 799억 원이었다
초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그 어떤 보습학원도 과외를 하는 곳도 없다. 어린이 사교육은 생각조차 할 수 없는 나라다. 초등학생은 교과서를 집으로 가져 오지 않기 때문에 예습·복습을 시켜야 한다는 개념이 애초에 없다. 사교육기관이 없는 건 중고등학교도 마찬가지다. 네덜란드 교육이야기다.(공교육천국 네덜란드-한울출판사)
광주 MBC기자로 근무했던 정현숙씨가 남편을 따라 네덜란드로 유학 가서 세 아이를 키우면서 겪은 얘기를 쓴 ‘공교육천국 네덜란드‘에 나오는 얘기다. 네덜란드는 산후조리에 드는 비용부터 국가에서 지원해 준다. 2주 동안 국가로부터 지원받은 돈은 약 2,000길드(한화 300만원)다. 양육비도 지원해준다. 2011년 기준으로 0~5세 194.99유로, 6~11세 236,77유로, 12~17세 278,55유로를 석 달에 한 번씩 지급받는다. 장애가 있는 경우 사회보장시설을 이용하면 두 배 이상 지급해 준다.

<이미지 출처 : 레이디 경향>
네덜란드는 맞벌이부부가 탁아소나 유아원 비용 때문에 고민할 필요가 없다. 사립유아원은 갓 태어난 아기부터 4세미만의 아이를 돌봐주는 곳으로 하루 8시간 (아침 9시부터 오후 5시까지) 위탁시설에 맡기면 한 달에 150만 원 정도 드는데 이 금액 대부분을 국가가 지원해 준다.(부부의 소득에 따라 지원금은 차이가 있지만 맞벌이 부부의 경우 80%이상 지원 받는다.(위탁비용 정부지원금 사이트 www.toeslagen.nl에서 확인할 수 있다.)
네덜란드에는 초등학교는 물론 중·고등학교도 수업료가 없다. 학교에서 수업 중 사용하는 연필이며 모든 문구류와 교과서는 무료다. 최근 우리나라에서 교과서대금 자율화로 출판업계와 정부가 대립각을 세우지만 네덜란드는 부모의 소득에 따라 책값을 지원해 준다. 이런 모든 혜택은 합법적인 비자를 받고 네덜란드어로 공부하는 외국인에게도 똑같이 누릴 수 있다.
학비걱정은 의무기간이 끝난 대학에 가서도 걱정하지 않아도 된다. 대학생이면 내외국인을 막론하고 누구나 학자금을 최저 금리로 지원해 준다. 고등학생이라면 누구든지 졸업시험을 앞두고 ‘공부지원금’을 신청한다. 네덜란드는 모든 대학생에게 매달 공부지원금을 준다. 학생부모의 소득에 따라 다르긴 하지만 대개 200유로(30만원)에서 500유로(75만원)사이의 돈을 4년간 학생 통장에 넣어준다. 때문에 대학이나 전문대학에 자녀를 보내는 부모들은 학비걱정을 하지 않아도 된다.

<이미지 출처 : 교육개발원>
네덜란드는 학비지원뿐만 아니라 ‘학생교통카드’를 이용해 무료로 대중교통을 이용할 수 있으며 의료보험료까지 지원받는다. 네덜란드는 만 18세가 되면 약 100유로정도의 의료보험료를 내야 하는데 대학생들이 내는 의료보험료의 60%는 국가가 내 준다. 1000만원이 넘는 학자금을 마련하기 위해 알바를 하기도 하고 학자금을 대출받아 신용불량자가 되기도 하는 한국의 대학생들에 비하면 네덜란드는 그야말로 교육천국이다.
한국에서는 반값등록금 문제도 해결하지 못하는데 네덜란드는 그 많은 돈을 국가에서 어떻게 감당할까? 네덜란드가 육아의 천국, 교육천국이 된 것은 세금 덕분이다. 우리나라는 세금을 줄인다면 좋아하지만 네덜란드에는 구멍가게에서 파는 물건 하나에도 세금이 무려 19%나 매겨져 있다. 연봉 300억 원을 받는 사람이나 시급 5,210원을 받는 사람이나 똑같은 세금(간접세)을 내는 우리나라와는 달라도 너무 다르다.
네덜란드가 육아천국, 교육천국이 된 것은 우연이 아니다. 네덜란드 국민들은 간접세의 비율을 높이고 직접세도 전체 소득의 38%정도나 낸다. 고소득자의 경우 50% 이상을 세금으로 내고 있지만 그 누구도 불평하지 않는다. 사교육이 뭔지도 모르고 태어나면서부터 육아지원금이며 공부지원금에 대학생 교통비까지 지원해 교육 걱정이 없다면 그런 세금으로 내는 돈이 아깝겠는가? 교육천국, 네덜란드 교육이 부럽다.
'김용택의 참교육이야기' 전자책을 구매할 수 있는 사이트입니다.
교보문고
http://digital.kyobobook.co.kr/digital/ebook/ebookDetail.ink?selectedLargeCategory=001&barcode=4808994502151&orderClick=LEA&Kc=
예스24
http://www.yes24.com/24/Goods/9265789?Acode=101
알라딘
http://www.aladin.co.kr/shop/wproduct.aspx?ISBN=E899450215
북큐브
http://www.bookcube.com/detail.asp?book_num=130900032
오디언
http://www.audien.com/index.htm
댓글을 달아 주세요
초등학생이 몸에 무리없이 학교 다닐수 있어 네덜란드교육법이 좋은 것 같아요.
2014.04.09 06:35 [ ADDR : EDIT/ DEL : REPLY ]하루도 즐거운 시간 되세요.^^
제가 볼때 울나라 사교육을 진정시키긴 불가능에 가깝습니다. 대학 평준화가 되야 하는데 그게 안되니까요. 그나마 사교육비를 줄이기 위해 저는 논술 입학사정관제 수시모집의 폐지를 주장합니다.
2014.04.09 07:1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우리나라는 구구단을 3학년 때 배우게 하지만
2014.04.09 07:22 [ ADDR : EDIT/ DEL : REPLY ]엄마들은 초등학교 입학 전에 배우게 하는걸요.
우리 아이들 참 불쌍하다 싶었는데
며칠전 기사에는 초등학교 저학년 수업량이 선진국 반도 안된다는 이상한 기사가 나오더라구요.
아이들은 원래 놀면서 배우는건데
놀이와 학습을 전혀 다른 세계로 생각하니...
생각할 수 록 우리 아이들 참 안타까워요...
참 좋은 세계로군요~
2014.04.09 07:51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우리도 이랬으면 좋겠어요~
물론 미국처럼 대학에 가서는 열심히 공부해야지요~
한 시대가 지나봐야 알 것 같습니다.
2014.04.09 08:22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분명히 장단점이 있습니다.
저렇게 국가에 의존하는 국민은 세계에 나가면 모든 나라에서 저리 해준다고 생각할 수 있습니다만 세상 어디에도 이와 같은 환경을 가진 나라는 많지 않습니다. 해수면보다 해발이 낮은 나라에서 너도 나도 악착같이 생존을 위해서 일해오면서 무서운 근성으로 세계에 도전하던 네덜란드인들이 그 후세들을 그 보상심리로 너무 위해주는 것 같습니다.
예전 그 막막한 대해에서 생존을 위해서 항해했던 하멜과 우리 나라에 그 악착같은 정신을 심어준 불굴의 히딩크 등 기라성같은 전 세대 인물들은 이런 교육을 받지 못했을 겁니다.
방법만 좋다면 우리 나라처럼 예습과 복습을 생활화하면서 학교라는 곳을 자기 수중에 두는 그런 아이들이 만들어질 수 있다고 봅니다. 정말 세상을 지배하는 아이들 말이죠. 물론 유급 제도는 우리나라에도 시급하게 도입되어야 할 제도입니다.
외국 나갈 때마다 느끼는 것이 있습니다. 우리 국민성은 '맹수' 수준입니다. 세계 어느 곳에서라도 어떤 도전에도 당당히 맞섭니다. 저는 우리의 수천년간 내려오던 역사가 우리를 단련시켰다고 봅니다. 까짓 이 시대에 모순이 있다면 당당히 맞서서 풀어야죠. 그건 우리들의 몫이기도 하고 우리 후세들의 몫이기도 합니다.
풀어야할 문제가 있는 것!~ 그건 어쩌면 행복입니다.
좋은 날 되십시오. 선생님!~
구구단을 1년동안 배운다니 우리나라에서는 상상도 못할 일이로군요
2014.04.09 08:51 [ ADDR : EDIT/ DEL : REPLY ]선행학습과는 거리가 먼, 아이들이 행복한 나라로군요
고운 날 되십시오~
어느 교육학자가 그러더군요.
2014.04.09 08:5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놀이가 최고의 교육이라고.
그러고 보면 우리교육은 예전부터 지금까지 헛발질만 계속하고 있는지도 모르겠습니다.
비밀댓글입니다
2014.04.09 09:10 [ ADDR : EDIT/ DEL : REPLY ]글자 늦게 가르쳐야 하고, 한국 수학은 정말 고쳐야 합니다..
2014.04.09 10:29 [ ADDR : EDIT/ DEL : REPLY ]정부에서는 수학에 변별력을 더 높혀야 한다면서, 더 어렵게 낼 모양입니다 ㅠㅠ
어려운게 교육이라지만
2014.04.09 10:3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실상 교육은 생활속 놀이에서도 충분한데...
학문만을 중시하는 기성세대가 문제겠지요..
아이들 기 죽인다고 잘못해도 혼을 내지 않는 이상한 교육이 늘고 있지만 학교에서 그 기를 다 죽이고 있는 거 아닌가 하는 생각이 드네요.
2014.04.09 11:22 [ ADDR : EDIT/ DEL : REPLY ]많이 다름을 또 느끼게 되네요^^
2014.04.09 11:23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경청도 배려이지요.
2014.04.09 11:55 신고 [ ADDR : EDIT/ DEL : REPLY ]사람에 대한 예의를 배우고
조화롭게 살아가는 법을 먼저 배운다니
참 부러운 일입니다.
교육을 백년지대계라고 말만 떠들고 알면 뭐하나요?
2014.04.09 12:33 [ ADDR : EDIT/ DEL : REPLY ]방향은 자꾸만 거꾸로 흘러 가고 있는 것을요^^
앞 날이 매우 안타깝고 어찌되려는지 캄캄하기만 합니다
가슴이 따스한 사람 해피 드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