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반응형

세종시민회의2

청소년 철학공부 이렇게 시작해 볼까 합니다 철학 없는 교육은 우민화교육입니다. 사회를 배워도 민주의식이 없고 역사를 배워도 역사의식이 없다면 그런 공부는 우민화교육에 다름 아닙니다. 일제 강점기 시절, 일제는 조선 사람에게 일본왕에게 충성하는 인간, 즉 황국신민을 길러내기 위해 교육을 시켰습니다. 자본이 원하는 교육은 노동자 의식이 없는 인간, 순종하는 인간, 근면하기만 한 사람, 시키면 시키는 대로 하는 그런 인간을 원합니다. 독재자가 학교에서 길러내고 싶은 인간은 정치의식이나 민주의식이 없는 인간을 길러내고 싶지 않겠습니까? 지금 학교는 어떤 교육을 하고 있습니까?      학교는 왜 철학을 가르치지 않을까? 독일을 비롯한 유럽 선진국들은 사회나 과학보다도 철학을 더 중요하다고 생각하고 학생들에게 가르치고 있습니다. 해방 후 우.. 2015. 9. 11.
‘교과서 없었으면 좋겠다’...? 장학사 맞아? “사교육 좀 시키지 마세요” “교과서가 없었으면 좋겠습니다” 현직 장학사가 강의 중에 나온 말입니다. 그는 ‘공부 하기 싫은 아이를 억지로 공부를 시켜서야 되느냐’고도 했습니다. 성실한 마음, 근면한 생활태도, 책임감을 흑판에 뜻이나 적고 암기한다고 길러지겠는냐고도 했습니다. 그렇게 죽기 살기로 학원에 보내 얻은 교과점수 내신 반영은 20%뿐인데 학부모들이 허리를 펴지 못하고 학원에 왜 보내느냐고 물었습니다. 동아리활동이나 체험학습이며 하고 싶은 걸 할 수 있도록 하면 그게 생활기록부에 포토 폴리오로 기록돼 대학 입시에 유리하게 반영되는데.... 거침이 없었습니다. 경기도시흥교육청 안선영 장학사가 지난 6월 17일 세종시교육연구원 ‘제 1기 교육거버넌스 시민역량 강화 연수’에서 강의는 그야말로 감동이었습.. 2015. 6. 22.
반응형